earticle

논문검색

星湖 李瀷의 『小學疾書』판본에 대한 소고 -규장각본(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Manuscripts of Seong Iik’s Sohak Jilseo -A Special Attention to the Manuscript of Kyujangkakbon (Ka)-

성호 이익의 『소학질서』판본에 대한 소고 -규장각본(가)을 중심으로-

김새미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d five different types of Sohak Jilseo (小學疾書) that are currently identified to be available. It is identified that Seong-Ho Iik’s Sohak Jilseo (小學疾書) has been hel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Kyujangkak, The Memorial Hall of Seong Ho,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based in the region of Andong. There are two types of manuscripts of Sohak Jilseo located in Kyujangkak. Among these, this paper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manuscript written by the very hands of Seong-Ho himself (the ancient volume 1344-17, hereafter called the version of Kyujangkak (Ka)). First of all, the Kyujangkakbon (Ka) is determined as a handwritten manuscript by Seong-Ho himself with its handwriting styles, additional and deleted notes being considered. However, those deleted notes and others in the manuscript are presumed to be undertaken by Seong-Ho’s students with the guidance of Seong-Ho. I presume that the modified parts were made by Lee Byoung-Hue who had managed the works of Seong-Ho; and of the manuscript, Seong-Ho Saseul (星湖僿說) with explicitly different writing styles from other parts was made by Ahn Jeong-Bok. The analysis of the paintings of So-Hak that is uniquely found in the Kyujangkakbon (Ka) indicated that Seong-Ho had attempted to express his thoughts drawing upon the viewpoints of Juja. The additional parts of Kyujangkakbon (Ka) presented that Seong-Ho made a hard effort to compliment the manuscript of Sohak Jilseo focusing upon Yeogi (禮記) and Seong-Ho’s students also strived to make Sohak Jilseo known to the wider public. Those deleted from the Kyujangkakbon (Ka) were identified as what have redundancy in meanings. The notes that were additionally inserted and deleted all showed us the passioned efforts of Seong-Ho having to strive to complete his works through continuous modification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s in formational styles of documents, the manuscripts of Hwajyungdangbon, Seonghogyinyeumgwanbon, Kyujangkakbon (Na), and Kukjungbon were identified in its sequential ordering in their formations. The orders are: Kyujangkakbon (Ka) - Hwajyungdangbon – Seonghogyinyeumgwanbon - Kyujangkakbon (Na) - Kukjungbon. Still some issues being unanswered for Kyujangkakbon (Ka), the defining fact is that Kyujangkakbon (Ka) is the very first drafted manuscript. Other types of Jilseo have been unable to decide their sequential orders due to the unavailability of its first manuscript. However, Sohak Jilseo being uniquely remained with its first draft, its different typed manuscripts have been able to be given a light for the comparison. This paper contributed to this understanding.

한국어

본고는 현재 확인되는 5종의 『소학질서』을 분석한 글이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소학질서』는 서울대 규장각, 성호기념관, 국립중앙도서관, 안동 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이중 규장각에서 2개 판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들 판본 중에서 성호선생의 친필본으로 생각되는 『소학질서(小學疾書)』(古 1344-17, 이하 규장각본(가)로 통칭함)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규장각본(가)는 필체, 첨가, 삭제한 사항 등으로 볼 때 성호의 친필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수정한 사항 등은 성호의 것과 성호 제자의 것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규장각본(가)의 수정사항을 도왔던 인물은 이병휴․안정복이며, 수정사항 중 필체가 확연히 다른 『성호사설(星湖僿說)』부분은 안정복이 추가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규장각본(가)에만 있는 소학 그림을 분석해 본 결과, 성호는 주자의 관점을 바탕으로 본인의 생각을 담으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규장각(가)에 첨가된 부분에서는 『예기』를 중심으로 『소학질서』를 보충하려했던 성호의 의지와 『소학질서』를 널리 알리려는 성호제자들의 마음을 동시에 읽을 수 있었다. 규장각본(가)에서 삭제된 부분은 뜻이 중복되어 없앤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를 통해 여러 차례 수정하면서 저작을 완성하려했던 성호의 학문적 정열 역시 느낄 수 있었다. 화경당본․성호기념관본․규장각본(나)․국중본에 대해서는 형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이 다섯 개 판본 계열은 “규장각본(가)-화경당본․성호기념관본-규장각본(나)․국중본”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규장각본(가)에 대해 몇 가지 풀리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규장각본(가)가 초고본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다른 질서들이 판본 순서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소학질서』만은 초고본이 남아 있어 그 판본계통을 살필 수 있었던 것도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星湖先生 『小學疾書』: 규장각본(가)
 3. 화경당본ㆍ성호기념관본ㆍ규장각본(나)ㆍ국중본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새미오 Kim Saemio. 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