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홍대용 『醫山問答』人物論 단락의 구조와 의미

원문정보

Hong Dae-yong 『醫 山 問答 』人物 論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paragraph

홍대용 『의산문답』인물론 단락의 구조와 의미

이현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홍대용의 『의산문답』은 북학사상에 관한 최초의 철학적 안내서였다. 17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조선의 호락논쟁(湖洛論爭) 중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은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에 관한 담론이었다. 인물성 담론에서 추론된 인성과 물성의 본질과 관계에 관한 인식은 단지 인물성(人物性) 담론에 머물지 않고, 중화와 이적의 본질과 관계에 관한 인식의 준거로도 활용되었다. 『의산문답』의 인물성담론도 마찬가지였다. 『의산문답』은 ‘인물균(人物均)’과 ‘자법어물(資法於物)’ 두 개념을 중심으로 인성과 물성의 본질과 관계를 설명하고 ‘인물무분(人物無分)’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런 인식은 중화이적 담론에서 ‘화이일야(華夷一也)’와 ‘용하변이(用夏變夷)’ 두 개념을 중심으로 중화와 이적의 본질과 관계를 설명하고, ‘내외무분(內外無分)’이라는 결론을 추론하는 데 활용되었다. 청나라 천명론과 청나라 중화론은 이런 바탕에서 탄생했다. 『의산문답』은 인성과 물성을 차이와 균등, 변화와 상호지향성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차이와 균등이란 인과 물은 몸의 구성요소나 생성조건이 동일하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덕목은 균등하며, 지각능력에서는 물이 결여되었고 실용적 능력에서는 인이 부족하다는 관점이다. 변화와 상호지향성이란 인과 물이 서로의 뛰어난 자질을 배워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극복해 왔다는 관점이다. 호락논쟁의 학문적 기원인 『주자어류』는 위계적 관점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인과 물은 분리되어 있으며 상호 배타적이고 적대적인 관계라고 믿는다. 동시에 인간만 완전하고 물은 결여되어 있다고 믿는다. 『의산문답』은 영향론적 관점을 보여준다. 그래서 인과 물은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지향적이고 보완적 관계라고 믿는다. 동시에 인간과 물은 서로에 의해 각자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위계적 관점과 영향론적 관점은 『주자어류』와 『의산문답』의 거리인 동시에 성리학과 북학의 거리다.

중국어

洪大容写的『医山问答』是第一个关于北学思想(学清论)的哲学说明书. 17世纪中叶至18世纪中叶在朝鲜发生了湖洛论争. 湖洛论争是从人物性论述中推断的人性与物性的性质和关系的认识, 推出了适用于定义中华和夷狄的性质和关系的依据. 医山问答的人物性论述也是如此. "医山问答"是以'人物均'和『资法于物』这两个概念为中心来描述人性与物性的性质和关系, 并得出了"人物无分"的结论. 它为解释中华和夷狄关系的论述做了铺垫. 所以"医山问答"是以"华夷一也"和"用夏变夷"这两个概念为中心得出了"内外无分"的结论. 清朝的天命论和中华论就是根据这个得出来的."医山问答"是从人物性的均等和差异, 变化和相互朝向性等两方面进行理解. 所谓的均等和差异, 是指人和物的身体组成部分和生成条件是相同的, 给予的道德也是相同的, 但物在知觉能力方面不足而人在实用的能力方面不足. 所谓的变化和相互指向性是指人和物通过学习对方的卓越品质, 克服自己缺点的意思. 性理学认为事物是有层次之分的, 人和物被认为是分开的, 相互排斥的对立的存在. 所以人被认为是完整的而物则被认为是有缺陷的.『医山问答』展示了影响论的观点. 它指出人和物是相辅相成, 相互有关联的, 所以人和物是相互朝向而又可以各自克服自己缺点的.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사 검토와 문제점
 3. 인물론 단락의 맥락과 주제
 4. 인물성 담론과 그 의미
 5. 『의산문답』과 『주자어류』의 차이
 6. 결론
 참고문헌
 중문요약

저자정보

  • 이현식 Lee, Hyunsik. 서남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