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

원문정보

Influence of Family Strengths and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Ego-identity and Relationship -

원상숙, 최용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lements that help resolve the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a dependent variable, by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engths, ego-identity and relationship on youth's school adjustment. To conduct the research we surveyed 633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Firstly, as the elements that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maladjustment to school, family strengths, ego-identity and relationship have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hool maladjustm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that the subjects are aware of in ego-identity and personal relations in connection with family strengths and school maladjustment, there are four indirect routes as follows. The first route is connected to family strengths, relationships. and school maladaptation. The second route is family strengths, ego- identity, personal relations and school maladjustment. In conclusion,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at to mitigate the problem of adolescents' maladjustment to school, family strengths, ego-identity, personal relations should be reinforced, which are the key elements to help adolescents to adust to school happily and easily, and it also can be utilized as a base line data for social welfare practice.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경북지역 중학생 ․고등학생 633 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자아정체감, 대인관계의 직 ․ 간접적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학교부 적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 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 본 결과, 가족건강성, 자아정체감, 대인관계와 학교부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부적 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4개의 간접경로가 존재하였다. 결론적 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정체감, 대인관계가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학교부적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족건강성, 자아정체감, 대인관계의 강화 가 청소년들의 보다 행복한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영향요인이며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Ⅱ. 선행 연구
  1. 개념적 검토
  2. 기존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의 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관측변인의 상관관계
  2. 가설적 모형의 분석결과
  3. 모형비교
  4. 매개 효과 검정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상숙 Weon, Sang-Suk.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 최용민 Choi, Yong-Min.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