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of manufacturing worker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such work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saliva microorganism examinations (S. mutans and Lactobacillus tests) were conducted from July 1 to August 1, 2014 targeting the manufacturing workers in the Busan and Gyungnam areas,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development among manufacturing workers. As a result, the risk of dental caries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workers who worked for 10 hours or longer a day than in those who worked for less than 10 hours a day, and in the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A 1-point increase in the brushing pattern score resulted in 0.044 times less risk of dental caries development in the S. mutans test and 0.004 times less risk in the Lactobacillus test Therefore,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manufacturing workers, along with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s.
한국어
본 연구는 제조업근로자의 근무특성 및 구강건강실천정도를 조사하여 치아 우식증 위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4년 7월1일부터~8월1일까지 부산·경남지역 일부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및 타액 내 미생물에 의한 치아우식발생요인검사(S.mutans검사, Lactobacillus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 10시간 이상이 10시간미만일 경우보다 치아우식위험도가 높았고,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치아우식위험도가 높았으며, 잇솔질 습관이 1점 증가함에 따라 치아 우식증 발생 고위험군일 확률이 S.mutans검사에서 0.044배 낮고, Lactobacillus검사에서 0.004배 낮았다. 따라서 제조업근로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인 노력과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업장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조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2 연구 도구
2.3 치아우식 위험도 연구방법
2.4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치아우식위험도 검사결과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아우식위험도
3.4 구강보건실천정도와 치아우식위험도의 상관관계
3.5 구강보건실천정도가 치아우식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4. 고찰 및 결론
5.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