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수준과 매개변수 융합에 따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변화 비교 연구

원문정보

The comparative study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media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dental hygienists

최미숙, 지동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the mediating effect in dental hygienists. Higher levels of emotional labor resulted in low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as well as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We us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change of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ocial support was the largest mediating factor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odds(Likely to with low job satisfaction) was down by 16% after adjustment for supervisor, colleague. In case of turnover intention, largest mediating factor were drinking, physical condition, supervisor, colleague and the odds(Likely to with high turnover intention) was down by 52% after adjustment for mediating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motional labor was negatively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nd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do more efforts to improve social support(supervisor and colleague) and management personal factor(drinking, physical condition) for the dental hygienists should be made to reduce such negative effects.

한국어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매개변수(개인적인 요소, 근무환경 요소)를 고려하여 감정노동 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변화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 수준이 높은 부류(Very High)가 감정노동 수준이 낮은 부류(Low)보다 직무만족도는 낮고 이직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직무만족도의 경우 매개변수가 사회적 지지요소인 동료, 상사의 지지였으며 이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을 가능성이 1.751에서 1.477배로 약 16%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의 경우 음주, 건강상태, 동료, 상사 등의 요소가 매개변수로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이 경우 이직의도가 높을 가능성이 5.464배에서 2.845배로 약 52%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감정노동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요소(음주, 건강상태)의 관리와 동료, 상사의 사회적 지원을 위한 병원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통계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특성
  3.2 개인적 요소, 근무환경요소, 감정노동에 따른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 수준
  3.3 개인적 요소, 근무환경요소에 따른 감정노동 수준별 분포
  3.4 매개변수의 효과를 고려한 감정노동 수준별직무만족도
  3.5 매개변수의 효과를 고려한 감정노동 수준별이직의도
 4.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최미숙 Mi-sook Choi. 초당대학교 치위생학과
  • 지동하 Dong-ha Ji. 대전보건대학교 환경보건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