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형자 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사례분석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Social Reentry Program and its Effects on Inmates : Case Study

이봉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study the effects on the inmate cases of Social Reentry Program administered in the prison. To build the program modules, program results in the previous year & review of psychopathic personality and cognitions were considered. The contents of the developed program include cognitive-behavioral therapeutic components, MBSR exercises, and social skill training using video clips. The results of the program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MMPI-2 profiles of 19 inmates show the anger bursting tendency among inmates. The comparison of MAAS, SDS-30, and absorption scale scores between pre- and post-program show the significant descrease of depression among them.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of the session progress among inmates show that they expressed the high interest for MMPI-2 results indicating his ow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lso the regrets of the past early experiences showed. Early resistant inmates changed their attitudes to the favorable level toward the later sessions. The results of these case studies imply that the developed program modules are promising to the rehabilitation of inmates for reentry to community.

한국어

본 고에서는 교도소 수형자에 대한 사회적응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된 인성교화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정신병질자의 성격 및 행동특성에 대한 개관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서 교정효과가 예상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기반으로 수형자 사회적응 및 직업윤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인지행동요법 및 명상치유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참여자의 생각, 감정, 및 행동의 변화 정도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시 결과로 충청지역 교도소에서 시행된 프로그램 참여자 중 1개 팀 19명에 대한 MMPI-2의 결과, 프로그램 전과 후에 걸친 MAAS, SDS-30, 몰입 척도점수의 비교결과가 제시되었다. 프로그램 보조진행자들이 기록한 자료를 기반으로 이들에 대한 회기별 반응을 상세히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는 우울 정도가 의미있게 감소된 참여자가 많았음을 보여주었다. 참여자들의 회기내 반응을 검토해본 결과, MMPI-2를 통한 자기 성격 이해에 관심을 많이 보였다. 과거의 후회를 많이 발표하는 경향이 있었다. 처음에는 거부적이던 참여자들이 점차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하였다. 이는 개발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참여를 꺼리는 수형자에게 점차로 태도변화를 유발하여 마음의 문을 열게 하며 의사표현을 돕고 생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고치며 분노조절 능력을 함양시켜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내용 및 방법
 IV. 사례 분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봉건 Lee, Bong-Keon. 충북대학교 사회대 심리학과 교수(임상심리학 전공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