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굴기 이후 한국화교와 다문화주의 - 잔여적 중국인인가 부상하는 과(跨)문화 주체인가? -

원문정보

Hwagyo (ethnic Chinese in Korea) under th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 Residual Chinese or Emerging Transcultural Subject after the Rise of China? -

신현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wagyo, ethnic Chinese in Korea, had virtually been the only non-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who had performed multiculturalism before the multiclultral policy began to be implemented. While hwagyo had established the stable identity of ethnic Chinese from the Mainland, the citizen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and the residents in South Korea simultaneously, they began to negotiate their legal citizenship and cultural sense of belonging in the complex effects of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since the 1990s. As a result, the neighborhood of Yeonhui and Yeonnam, that once was a marginalized enclave of hwagyo, is being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or transcultural place which is shared by hwagyo, joseonjok (ethnic Koreans from China), mainland (Han-) Chinese, and other foreigner residents. In spite of these changes, my field research shows that hwagyo senses their exclusion from the benefits of multicultural policy. Furthermore, they feel uncomfortable with the gaze that does not differentiate them from the newcomer Chinese. The main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hwagyo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not as residual Chinese diaspora after the rise of China, but as hybrid and transcultural subjects who are neither Chinese nor Korean. It has the implication that th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needs to go beyo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ethnonational culture.

한국어

한국화교는 냉전 시대 ‘중국(대륙) 출신, 대만 국적, 한국 거주’라는 확고한 정체성을 형성해 왔고, 다문화주의 정책이 시행되기 이전 시대에 다문화주의를 실질적으로 수행해 온 유일한 소수자 집단이다. 화교는 1990년대 이후 한중 수교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권역에서 전개된일련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 속에서 자신의 법적 시민권과 문화적 소속감을 유연하게교섭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에서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화교의 집단 거주지인 연희동․연남동 일대는, 주변화된 화교의 집거지로부터 오래된 거주자인 화교와 새로운 주민인 대륙 중국인, 조선족, 기타 외국인이 공유하는 다문화적 혹은 과문화(跨文化)적 장소로 재편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교는 자신들이 다문화주의 정책으로부터 얻는 수혜가 없다고 실감하고있으며, 오히려 자신들이 새로운 이주민과 구별되지 않는 사실에 대해 불편해 하고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화교는 중국이 초강대국으로 굴기(屈起)한 이후의잔여적 중국인으로 간단히 설명될 수 없으며, 오랜 시간의 문화적 변환을 통해 형성된 혼종적이고 다문화적인, 정확히 말하면 과문화적 주체로 재개념화되어야 한다. 이는 다문화정책이본질주의적 민족문화(ethnonational culture)의 개념을 넘어서야 한다는 함의를 갖는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억압된 것의 귀환?
 2. 문제설정과 연구방법
 3. 화교의 뿌리(roots)와 경로(routes)
 4. 화교의 장소로의 여행: 의도하지 않은 다문화 장소의 구축
 5. 화교, 다문화 정책 바깥의 다문화적 주체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현준 Shin, Hyun-Joon.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