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춘수와 도스토예프스키 (1) - 시집 『들림, 도스토예프스키』에 나타난 대화적 관계의 특성 -

원문정보

Kim Chun Su and Dostoevsky (1) - the Dialogic Relations in Deulim, Dostoevsky -

김유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dialogic imagination in Kim Chun Su’s Deulim, Dostoevsky(들림, 도스토예프스키), through M. M. Bakhtin’s theory of duality and polyphony. Regarding Dostoevsky’s characters, Bakhtin defined their nature as dialogic relations among their world views and structures of thinking. Choosing Dostoevsky’s works as an example, Bakhtin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novel form that embodies various values’ mixture, contradiction, conflict, and clash depending on the periods. More importantly, the voices of such characters do not merely reflect that of the author but also oppose it in some cases. According to Bakhtin, Dostoevsky aimed for a polyphonic harmony and gathering of diverse voices in his works. While Bakhtin’s explanation of Dostoevsky’s works mostly focused on the change of times upon the emergenc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world view, Kim problematized the human being’s intrinsic contradiction regarding the good and evil and overcoming of such conflicts. In this process, Kim sought a lead for solution in Dostoevsky’s characters. He then materialized this thought by reflecting the characters’ dialogic relations in his own poetry. However, Kim subsequently faced the challenge of developing this thought not in the form of novel, but poetr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poetic form and to more effectively express his thought, Kim attempted three methods. For the first method, one character writes letters to other characters, as seen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letter style poems. As seen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he second method was to build a dramatic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s through monologue and confession, in order to dramatically represent their clashing values. the third method was methodology of alter ego to embody these characters’ diverse voices. In summary, Kim used these dialogic relations to represent the human being’s chaotic mixture of contradicting and clashing values. As such, Kim was inspired by the Dostoevsky characters’ diverse voices, representing this idea in his poems as the human being’s intrinsic contradiction and conflict and not as the change of times. In his effort to effectively illustrate this inner contradiction and conflict, Kim’s works are similar to Bakhtin’s criticism in focusing on the dialogic relation of Dostoevsky’s characters and polyphony of the diverse voices and in reflecting this thought in his own poems.

한국어

이 논문은 김춘수의 시집 들림, 도스토예프스키(1997)에 나타난 대화적 상상력의 구조를러시아 문예이론가 M. M. Bakhtin의 이중성(duality)과 다성성(多聲性, polyphony)의 개념에 입각하여 조명하고 분석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바흐찐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발화적 특성을 각기 다른 세계관과 사유 체계에 속한 이들 간의 대화적 관계로 정의하고, 이를 다른 작가들에게서는쉽게 발견할 수 없는 도스토예프스키만의 특성으로 이해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바흐찐의 설명은 시대 변화에 따른 다양한 가치관의 혼재와 그들 사이의 모순과 대립, 충돌을 반영한 근대소설의 양식적 특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그는 자신의 이러한 설명 모델에 가장 적합한 예로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를 지목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주인공, 또는 작중 인물의 목소리가작가의 내면 사상의 반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서 작중인물은 때론 작가의 사상에 반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요컨대 바흐찐에 따르면 도스토예프스키는 그의 소설에서 다양한 목소리들의 다성악(多聲樂)적 어울림과 조화를 지향하였던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 대한 바흐찐의 설명이 주로 근대 자본주의 세계관의 대두에 따른시대 변화의 반영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한다면, 김춘수의 경우는 선과 악의 문제를 둘러싼 인간 내면의 본질적인 모순과 그로 인한 갈등의 양상들을 어떤 식으로 지양, 극복하는가가 그의 시작의 목표이며 중심 과제였다. 여기서 그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작중 인물들에서 하나의 실마리를 발견해보려 한다. 그는 이질적인 생각을 지닌 작중인물들끼리의 대화 형식을 취해, 이러한 구도를 자신의 시작에 반영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자신의 고민을 구체화해보게 된다. 문제는 그가 이런 자신의 고민을 나열하는 장이 소설이 아닌 시라는 점이다. 시라는 양식이 지닌 한계를 뛰어넘어, 이러한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표출해보기 위해서 그가 취한 방식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시집의 제1, 2부에 수록된 다수의 시편들에서와 같이 한 작중 인물이 다른 작중 인물에게 보내는 편지, 즉 서간체 형식의 텍스트로 양자 사이의 입장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 둘째, 제3, 4부에 수록된 시편들에서 보듯, 독백이나 고백의 발화를 통해 인물들 사이의 극적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들 상호간의 충돌하는 가치관을 긴장감 있게 부각시키는 방식. 셋째, 다양한 목소리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분신의 방법론. 이러한 대화적 관계 유형들의 제시를 통해 김춘수가 드러내고자 한 것은 결국 우리 인간의 내면에서 서로 모순적으로 충돌하는 제 가치관들의 혼란스러운 양상이라고 요약할수 있을 것 같다. 이로 보면 김춘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에 등장하는 작중 인물들의 다양한 목소리들에영감을 받았으되, 이를 자신의 시작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시대 변화가 아닌 인간 내면의 본질적인 모순과 갈등의 문제로 치환하여 풀어보려 했음이 드러난다. 그와 같은 내적 모순과 갈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바흐찐이 지적한 것과 유사하게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 등장하는 작중 인물들 간의 대화적 관계, 그 이질적인 목소리들의 다성성에 주목하고 이를 자신의 시작에 반영하려 한 점은 널리 인정받아 마땅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며 : 도스토예프스키와의 만남
 2. 인간의 양면성과 그 비극적 존재 양식에 대하여
 3. 분석에 앞서 : 몇 가지 예비적 고찰
 4. 시집의 기본 골격과 대화적 상상력의 구체적인 양상들
 5. 나오며 : 대화적 상상력의 특성과 그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중 Kim, You-Joong.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