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원문정보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박덕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Cold War ended and the misrule of North Korea was revealed through its serious economic cri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uld no more be approached with the viewpoint of the past era. It became also difficult for the literature abou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 form an effective discussion on division and unification since the 1990s. In this period, there was a rapid increase in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required a new perspective on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which was oriented from division to unification with escape from North Korea as the medium, is called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You can see the sign of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 series of novels about escape of North Koreans due to a shortage of food in North Korea since the opening of China in the 1990s. Those novels including "Watch over Father," a short story by Choi Yoon, focus on a story of contact between South Korean figures and those who have escaped from North Korea. Next, a series of novels that paid attentionto the mass defection from North Korea, which began in the period of ‘the march of hardship’ in the middle of 1990s, showed an aspect of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terature about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You Suffer Loneliness Even When You Are Together," a short story by Park Deokkyoo, is a novel that represents this period. Afterwards,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developedlargelyin two aspects. One of them is novel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ho reside in a third country as the main character such as "Barideki," a full-length novel by Hwang Seok-young, "Wild Rose," a series novel by Jeong Do-sang, "Lina," a full-length novel by Kang Young-sook, and "Met Roh Ki-Wan," by Cho Hae-jin. The other is the novels that depict those North Korean defectors who settled in South Korea but failed to adapt to the country properly such as "LeftHanded Mr. Lee," a full-length novel by Kwon Li, "Ghost," a full-length novel by Kang Hee-jin, and "Shame," a full-length novel by Jeon Soochan. The former reminds us of the fact that the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meets diaspora, a grave theme that has lasted in the society of the mankind.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tresses the fact tha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the same context as that of the isolated other in the multi-cultural era.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also includes a sort of ‘the literature about marginal me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which reveals the position as marginal men of those from North Korea such as spies sent to the South and political refugees to a third country, the literature about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and poems and novels about escape from North Korea created by North Korean defectors themselves. Therefore, the literatur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comes to help build a cultural foundation for preparing for unification in that it actively accepts the issue of unifi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temporary theme. It also needs attention as it can actively substitut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has fallen into political slogans.

한국어

냉전체제가 종식되고 북한의 실정(失政)이 심각한 경제난으로 드러나면서 남북 관계에 대한 이해에는 분단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이 필요해졌다. 분단문 학도 더 이상 1990년대 이후 분단과 통일에 관한 유효한 담론을 형성해내기 어려워졌다. 이 무렵 급증한 탈북 사태는 문학에 대해서도 새로운 설명을 요구했 다. 이 논문은 분단에서 통일을 지향해 가는 이 시기 문학을 탈북문학이라 명명 하고 이의 형성과 전개의 전 과정을 정리하고 있다. 탈북문학은 1990년대 중국의 개방 이후 북한의 식량난으로 생겨난 주민이탈 현상을 담은 일련의 소설들에서 그 조짐을 확인할 수 있다. 최윤의 단편 「아버지 감시」 등은 남한의 인사와 북한을 벗어난 주민들이 접촉하는 스토리를 중심에 두고 있다. 이어 1990년대 중후반 ‘고난의 행군’ 시기부터 일어나기 시작한 대량 탈북 사태를 주목한 일련의 소설들은 종래의 분단문학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을 처음으로 보여주는바 이를 탈북문학의 시초라 할 수 있다. 박덕규의 단편 「함께 있어도 외로움에 떠는 당신들」 등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소설이다. 이후 탈북문학은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황석영의 장편 『바 리데기』, 정도상의 연작소설 ‘찔레꽃’, 강영숙의 장편 『리나』,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다』 등 제3국에 거주하는 탈북자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는 소설들이다. 또하나는 국내에 정착했으나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탈북자를 그리고 있는 권리의 장편 『왼손잡이 미스터 리』, 강희진의 장편 『유령』, 전수찬의 장편 『수치』 등이 다. 전자는 탈북 문제가 인류사회에 지속되어온 디아스포라라는 중후한 주제와 만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반면 후자는 탈북자들이 다문화시대의 소외된 제3국 인의 면모와 맥을 같이한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탈북문학은 이외에도 남파 공작원이나 제3국 망명자 같은 북한 출신들의 경계 인으로서의 처지를 밝히는 일종의 ‘탈북 경계인 문학’, 탈북아동과 탈북청소년을 다룬 아동청소년문학, 그리고 탈북자 자신이 창작 주체가 되어 창작한 탈북 소재 시와 소설 등을 포괄한다. 이로써 탈북문학은 동시대 가장 민감한 주제인 통일 문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통일을 예비하는 문화적 기반을 이루는 데 일조하게 된다. 나아가 정치 구호로 함몰된 북한문학을 적극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요한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관점의 전환 : 분단문학을 넘어서
 3. 탈북문학의 시발 : 1990년대 중후반 소설
 4. 공간적 영역과 인식적 지평의 확장
 5. 마이너리티의 표상 창출
 6. 범주의 확산과 주제의 통합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덕규 Park Dukkyu. 단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