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은의 「그 석굴 소년」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원문정보

The Mythological Imagination of the Ko-Un’s “A Stone Cave Boy”

김수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ritten by ko-un has been received attention and studied constantly, in that it shows results of extending the new horizon of Character Description in Korean Poetry Literature. In particular, in “A Stone Cave Boy”, which marks the end of the vast scale, the movements of time and space are more dynamic than other poems and the mythical image presents distinctly. It seems like the person who told stories of the other poems interestingly was the boy through “A Stone Cave Boy” in the last. The boy ‘Soorae’ exists as a mysterious hero and the very man who has told everybody’s story. He deepens himself the mythical image by encompassing cosmic past and future. The boy who live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without ‘time’, grows learning the rhythm of nature in the space of the cave. “A Stone Cave Boy” denote ‘eternal present’ through the boy who can freely move between past and future, and past-present-future rotation system is naturally designed. The boy enters the world not of ‘absolute time’ but of ‘time-free’ and is given memories of a few million years ago and hunches of a few million years later. It tells the boy’s eternity by making the conventional view for time pointless. Through his ability, he develops as a hero delivering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space that the world of time-free turns up is ‘the stone cave’. This place is primal space the boy was born and means a return to the original form, and can convey tremendous power only to the boy. This place features the space congregated by nature and mankind more than just space. Water, one of the basic materials of space, has been recognized by the same meaning with ‘mother’, and image of ‘sea’ in Ko-un’s works is connected to ‘life’ and ‘purification.’ Therefore, the boy is purified and gains the life force by returning to the primal place. Furthermore, it exists as a connecting link to present, not the opposing existence, and disclose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by arranging the movements of life and nature in a row. Entry into the stone cave is the space which the boy exists himself as well as his destiny. He finally finds the authentic self and eternal life by making roles of communication between space and empty. What the boy’s world of time-free or space-free is willing to reveal is the fact that the world bases on a mythical imagination of circulation and eternal recurrence. As the last part of “A Stone Cave Boy”, the life or death is meaningless in the world of the cave. The boy obtains sense of freedom by erasing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The fact that the story of ‘eternal boy, Soo-rae’ in the world of time-free and space-free in the last masterpiece is the writer’s meaning that there are countless stories in the past and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고은의 『만인보』의 대미를 장식하고 있는 「그 석굴 소년」에 나타나는 신화적 상상력의 세계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은의 『만인보』는 한국 시문학사에서 방대한 인물 서사의 새로운 시적 지평을 확장시킨 성과를 거두 었다는 문학적 주목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는 『만인보』의 역사적 공동체의 인물 서사 담론에서 신화적 담론으로 대미를 장식한 「그 석굴 소년」의 신화적 서사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석굴 소년」은 서사의 시간과 공간의 움직임이 역동적이고, 신화적 이미지가 선명하게 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석굴 소년」의 신화적 상상력의 서사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사 인물의 신화성이다. 작품의 주인공인 ‘소년 수레’는 『만인보』의 역사적 개개인의 삶의 이야기가 기록된 ‘돌책’을 읽고 전승하는 주체이며, 영원성의 생명을 지닌 영웅으로 존재하는 신화적 인물로 등장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이 작품에 나타나는 시간의식은 광활하고 우주적인 과거와 미래를 주관하는 무 시간의식의 신화적 서사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과거와 미래를 자유롭게 넘어 다닐 수 있는 ‘영원한 현재’인 과거-현재-미래의 반복 순환 구조로 나타난 다. 현실적 시간이 아닌 무 시간성의 세계인 영원성의 시간의식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의 주요 공간인 ‘석굴’은 신화적 공간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석굴’은 ‘소년 수레’가 태어난 태초의 공간이자 원형회귀의 공간이다. 즉, 자연과 인류가 교합된 신화적 공간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태초의 공간은 현실과 대립되는 장소가 아닌 ‘정화’와 ‘재생’의 무공간성의 신화성을 띠고 있다. 이러한 「그 석굴 소년」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의 서사 구조는 『만인보』에 등장하는 역사적 개개인의 삶을 신화적 차원으로 전환시켰다. 이는 주인공 ‘수레’ 를 통하여 신화적 시간과 공간을 매개로 하여 존재의 시원과 영생의 차원으로 승화시켜 역사적인 진실을 구현하려는 고은의 신화적 상상력 전략의 결산이라 하겠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그 석굴 소년」의 신화적 서사구조
 3. ‘소년 수레’의 영웅 서사화 분석
 4. ‘석굴’의 신화적 공간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복 Kim Soobok. 단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