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Evaluation on the use of particles, which comprises a critical part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in language diagnosis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requencies of correct use and errors of particles, and particle errors by error types and sub-categorized types of particles in pre-school, Korean speak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SLI,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proceeded for a month in October, 2014. The subjects were 20 children with SLI, 20 age-equivalent children, and another 20 language-equivalent children, 60 in all, living in Busan, Yangsan in Gyeongnam, Yeongcheon and Geyongsan in Gyeongbuk.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 PRES and K-ABC, provided by the pictures of a ‘ball story’ and a ‘swing story’ as recollective materials, in order to compare the frequencies of correct use and errors of particles presented in the utterance of children. The particle errors were categorized by types and the frequencies of particle err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correct use and errors of particles by the SLI group, the age-equivalent group, and the language-equivalent group were tested by ANOVA.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tested by t-test and differences in the error types between the groups were tested by one-way ANOVA. The frequency of particle errors in the SLI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ge-equivalent group and the language-equivalent group. The frequencies of errors by error types were different in the ball story and the swing story. With the ball story, ommission was only noticed in the SLI group while substitution was found in all three groups.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rrors by error types was as follows. In the SLI group, nominative case particles were most highly substituted for objective case particles. In the age-equivalent group, objective case particles were most highly substituted for adverbial case particles. Among other error types in the ball story, nominative case particles were most highly duplicated. In children without SLI, duplication of nominative case particles and addition of other items were noticed in the language-equivalent group, while none of such addition was found in the age-equivalent group. In the SLI group, substitution errors in the swing story were more frequent than in the ball story. Particularly, objective case particles were highly substituted for nominative case particles and adverbial case particles were most highly substituted for objective case particles. Among other types of errors in the swing story, in the SLI group, ommission of objective case particles was most frequent, while ommission of adverbial case particles was noticed in the age-equivalent group and the language-equivalent group.
한국어
본 연구는 학령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조사사용 빈도, 조사오류 빈도, 오 류 유형별 오류빈도, 조사 하위종류별 오류빈도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를 사용하는 단순언어 장애아동이 조사사용에서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 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10월 1개월간 진행되었으며, 대상아동들은 부산, 경남 양 산, 경북 영천, 경산에 거주하는 아동들로써 단순언어장애아동군 20명, 생활연령으로 일 치시킨 정상아동군 20명, 언어연령으로 일치시킨 정상아동군 20명으로 총 60명이었다. 아동들에게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PRES)와 카우프만 지능검 사 (K-ABC)를 아동들에게 실시하였으며 이야기평가의 그림인 ‘공 이야기’, ‘그네 이야 기’를 이용하여 아동들에게 회상자료로 제시하고 세군의 아동들의 발화속에서 나타나는 조사사용빈도 및 오류빈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조사오류의 오류유형을 분류하고 오류유형별 오류빈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군과 생활연령일치아동군, 언 어연령일치아동군의 차이를 분산분석(ANOVA)을 통하여 사용빈도와 오류빈도에 대한 그룹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룹 간 평균차이는 t 검정으로, 오류유형에 대한 그룹 간 차이는 일요일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조사의 오류빈도는 각 군간 조사오류 빈도를 조사한 결과, 단순언어장애 군이 동일생활연 령군과 동일언어연령군보다 유의하게 오류빈도가 높았다. 오류유형별 오류빈도는 공이야 기와 그네이야기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공이야기에서 생략은 단순언어장애군에만 나타났 고, 대치는 세 군에서 모두 나타났다. 오류유형별 오류빈도의 군간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순언어장애 군의 경우 공이야기에서 대치오류는 목적격이 주격으로 대치되는 오류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활연령 일치군에서는 목적격이 부사격으로 대치되는 오류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이야기의 기타 오류로는 주격이 주격과 이중으로 사용되는 오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상아동의 언어연령일치 군은 주격과 주격의 이중 사용과 기타를 첨가하는 오류유형이 나타났으나, 생활연령일치군에서는 기타오류가 나타 나지 않았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Ⅲ. 결과
1. 대상아동의 생활연령, 언어연령, 평균발화길이
2. 조사사용빈도의 비교
3. 조사오류빈도의 비교
4. 조사오류 유형별 오류빈도 비교
5. 조사오류빈도 비교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