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취학준비도검사 표준화 예비연구

원문정보

A Preliminary Study of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for Preschoolers

윤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reliminarily executed to develop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that can assess the degree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Items are made up six domains of school readiness: basic learning, communication, cognitive, general knowledge, physical development, social adaptation. Subjects were 300 children(5 years 147, 6 years 153) who has been attended to a kindergarten or a day care center. For demonstrating the reliabilities of the 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one this inventory was investigated to Cronbach's α and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SEM).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the subtests were reached above .90. The SEM for the subtests of this inventory is approximately less than the score point 5. Also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eached above .87 in parent rater and .90 in teacher raters and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Also a confirmatory item analysis was done for determining the validities. The median coefficients for each subtest were ranged from .702 to .784 and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Also, the intercorrelations among its subtests were above .911 and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형 취학준비도검사를 제작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일반적으로 유아교육전 문가들이 주장하는 학습준비 영역을 학습기초(학습태도, 학습준비, 학습수행), 언어(듣기, 말하 기) 인지(읽기, 쓰기), 일반지식(수리, 변별), 건강(운동, 기본생활), 사회적응(사회, 정서) 등 6개 로 구분하고, 만5세와 6세에 이루어지는 학습준비 문항 중에서 각 영역별 15개씩 총 90 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고 있고 생활연령이 만 5세 147명, 6세 153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통계 분석을 하였다. 먼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 일치도와 측정 표준오차,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 뢰도를 분석하였는데, 연령별 하위검사의 일치도 계수는 거의 모두 .8 이상으로 나타나 하 위검사 문항들이 동질적이고 신뢰로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하위검사의 검사-재검사 신 뢰도는 부모가 평정한 경우 .876에서 .927까지, 교사가 평정한 경우 .901에서 .937까지 나 타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1). 한편,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문항분석(confirmatory item analysis)을 실시 하였는데, 각 영역별 문항의 point-biserial 상관계수가 대부분 아주 높게 나타났고, 각 하 위검사의 중앙 계수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또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위검사간 상호상관을 알아보았는데, 각 하위검사간 상호상관은 .91 이상으로 나 타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1). 이는 하위검사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각 하위검사의 문항들이 동일한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검사문항 제작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신뢰도
  2. 타당도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치연 Yoon, Chi-Yeon. 춘해보건대학교 언어재활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