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건모형을 통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과정적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process through Antecedent Model

정세민, 유평수, 최흥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o synthetic analysis·diagnosis about the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to date, and to present a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promotion process and promotional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and searched a rational development plan by an Antecedent Model presented by Seung-hun Kim(2008), through formation of the policy, determination of the policy, policy enforcement, and step-by-step process of evaluation of the policy. As a result, the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set up a set of reasonable objectives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but chose the eclectic strategy that blends the needs of the stakeholders. However, what were also discovered were the unintended variable of propulsion system of assessment, the paternalistic evaluation by the evaluation participants, damage to autonomy caused by the use of uniform index, the lack of evaluation culture, the lack of expertise evaluators, and the institutional problems that change year after year without macroscopic alternatives. As a result, to achieve the intended purpose of the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to enhance the educational power of school, and to further achieve the essential goal of education, teacher, students, parents, as well as the educational entity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keep on improv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e present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have through a wide range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2002년부터 제기되어 현재까지 논란이 되어온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진단하고, 이 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추진과정과 추진내용을 등을 살펴보고, 김승훈(2008)이 제시한 전건모형에 따라 정책의제의 형성, 정책의 결정, 정책의 집행, 정책의 평가 단계별 과정적 고찰을 통하여 합리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학교교육의 질 제고라는 타당한 목적 설정을 했으나 그 추진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요구들을 적절히 조화시킨 절충화 전략을 선택했다. 하지만, 평가추진방식의 의도치 않은 변수와, 평가참여자의 온정주의적 평가, 획일적 지표의 사용으로 인한 자율성 훼손, 평가 문화의 부재와, 평가자의 전문성 미흡, 그리고 거시적인 대안 없이 해마다 바뀌는 제도상의 문제점 또한 발견되었다. 이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고 학교의 교육력 제고를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 는 물론 교육부등의 교육주체 모두가 폭넓은 교류와 협력을 통해 현행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아가 그 본질적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원능력개발평가
  2. 전건모형
 III. 전건모형에 의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과정적 고찰
  1. 정책의제 형성
  2. 정책결정
  3. 정책집행
  4. 정책 평가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세민 Jeong, Se-min. 전주만성초등학교
  • 유평수 Yu, Pyeong-su. 전주대학교
  • 최흥식 Choi, Heung-sik. 전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