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관계 및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ocial Rel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ypes of After-School Self-Care Arrangement

박은정, 이유리, 이성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ackground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after-school self-care types and to grasp the impa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self-care types and social relations in school on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2012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in which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4,323 (2,156 third graders and 2,167 sixth grad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ade of children,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and presenc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revealed to be the common variables influencing on adult care, temporary self-care, and continuous self-care. Also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s and household income were shown to affect solely on adult care and continuous self-care, whereas gender of the child appeared to affect only continuous self-care.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all types of self-care of adult care, temporary self-care, and continuous self-care. Third, in all types of self-care,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peers,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Moreover, teacher relationship showed a positive impact on only adult care and continuous self-care.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problems on after-school child care were discussed and several policy measures to solve child care and educational problems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학생 총 4,323명을 대상(3학년 2,156명, 6학년 2,167명)으로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별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을 분석하고, 자기보호 유형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교에서의 사회관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학년과 모의 취업여부, 조부모 동거여부는 성인보호, 일시적 자기보호, 지속적 자기보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변인으로 나타났고, 모의 학력과 가구소득은 성인보호와 지속적 자기보호에만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성별은 지속적 자기보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보호, 일시적 자기보호, 지속적 자기보호 등 모든 자기보호 유형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모든 자기보호 유형에서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학업성취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교사관계는 성인보호와 지속적 자기보호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방과 후 돌봄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논하고, 이들의 돌봄과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분석자료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
  3.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관계 학업성취의 차이
  4.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관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은정 Park, Eun Jung. 건강가정컨설팅연구소
  • 이유리 Lee, Yu Ri. 건강가정컨설팅연구소
  • 이성훈 Lee, Sung Hoon. 안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