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920년대 일본어 조선동화집의 개작 양상 -『조선동화집』(1924)과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write of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written in Japanese in 1920's - Focusing on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1924) -

김광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ook up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which was written in various Japanese issued until 1926. And after checking that, the influential relation was considered. It was confirmed by this research that more than 8 pieces of story in the report of the General Government of Chosun investigated in 1913 and fact common to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The General Government of Chosun, 1924) that Umekichi Tanaka adapted exist. So the change was considered based on comparative examination of story in 1913 and 1924 in the main subject. And the contents of a Rewrite in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issued after it could be considered positively. A study to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of the General Government of Chosun gets into full swing after 1990's. But it wasn't considered about a report of 1913. Argument to the contents of the Rewrite couldn't sneak out of the reach of the inference with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indicate that, and new study direction was opened. And this research compared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1924) and Ashida's Japanese textbook(1923-4) with a report of 1913. The aspect which feels considers the meaning that the General Government of Chosun collected a story and issued the fairy tale collection and the Chosun fairy tale collection is wide in 1926 could be considered positively. After the Rewrite of the performed fairy tale was considered multilaterally in 1920's by this research like the above, the opportunity which can analyze the respective editor's aim and directionality of the Rewrite in three dimensions could be established. As a result, Tanaka's fairy tale collection maintains the contents on a report of 1913 overall, and it's possible to confirm that it was adapted using noble Japanese. After it was compared in a Japanese textbook of Ashida compiled, Tanaka was different from Ashida. Tanaka describes the contents about which a main character lies just as it is and maintains a motif and an outline faithfully in comparative way. On the other hand, Nakamura idealizes beautiful Chosun story and is adapting freely compared with Tanaka. But the other fairy tale collections are conscious of close friendship in Chosun and Japan intentionally, and are the different contents. Tanaka's fairy tale collection is different from Nakamura’s fairy tale collection on the one hand, and Japanese close friendship isn't being emphasized with Chosun. Tachikawa’s fairy tale collection is the fairy tale collection ignored perfectly so far in spite of its importance. Tachikawa confirmed that it was adapted based on Tanaka's fairy tale collection though he was conscious of narrating fairy tal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achikawa’s fairy tale collection was adapted freely further compared with Nakamura’s fairy tale collection. Both of two are Tokyo in Japan and Nakamura and Tachikawa’s fairy tale collection is issued targeted for the Japanese reader. Tachikawa adapted Chosun story more freely than Nakamura. Tachikawa changed brother tan into the next tan of aged people which is often seen as Japanese reminiscences. A character changes big with this, and person setting is changing big. Such as Tachikawa inserts the song as well as being conscious of narrating fairy tale and adding an explanation to the forequarter and the second half part, the exceptional Rewrite is indicated.

한국어

본고에서는 종래에 제한된 자료집을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를 극복하고, 1926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일본어 조선동화집이 간행되었음을 제시하고, 그 영향 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1913년 조선총독부 학무국이 조사한 보고서 내용과 다나카 우메키치가 개작한『조선동화집』(조선총독부, 1924)에 공통의 옛이야기 8편 이상이 수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론에서는 1913년 및 다나카 개작을 대조 검토하고, 후대 조선동화집의 개작 상황을 실증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1990년대 이후 조선총독부의 『조선동화집』 연구가 본격화 되었지만, 1913년 학무국 보고서에 대한 검토가 행해지지 않아, 그 개작 양상에 대한 논의는 추론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의 설화 개작에 대한 전반적인 양태를 실증하여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1913년 학무국 보고서 및 1924년 다나카 『조선동화집』, 제2기 아시다 국어독본(일본어 교과서, 1923-1924)을 기초로 하여 총독부의 설화 채집과 동화화의 의미를 검토하고, 1926년에 조선동화집이 확산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처럼 1920년 중반에 행해진 동화 개작 양상을 다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각 편자의 의도와 개작의 방향성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 결과 다나카 동화집은 전체적으로 1913년 보고서에 실린 원 설화의 모티브와 줄거리를 유지하며 부드럽고 고상한 일본어 교육을 목표로 착한 어린이를 교화하기 위해 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시다가 편찬한 총독부 일본어 교과서 내용과 비교해 본 결과, 다나카는 아시다와 달리, 거짓말 하는 내용을 그대로 기술하는 등 비교적 충실하게 모티브와 줄거리를 유지하였다. 한편, 나카무라는 아름다운 조선의 이야기를 이상화 시켜 다나카에 비해 자유롭게 개작했는데, 한일 설화의 친밀성 즉 ‘일선동조론’을 의식해 설화를 개작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다나카 동화집은 나카무라와는 달리, ‘일선동조론’과는 일정한 거리를 둔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치카와는 나카무라에 비해 더욱 자유롭게 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카무라와 다치카와 동화집은 둘 다 도쿄에서 일본인 독자를 대상으로 출판되었는데, 다치카와는 형제담을 일본 설화에 자주 보이는 이웃집 노인담 형태로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등장인물이 바뀌고 인물 설정이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실연동화를 의식해서 앞부분과 뒷부분에 설명문을 첨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노래를 삽입하는 등 파격적인 개작 양상을 선보였다. 1920년대 일본어 동화집과 방정환, 심의린을 포함한 조선인 동화집과의 비교를 통한 당대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한 총체적인 검토는 앞으로의 과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전설 동화 조사’(1913)와 『朝鮮童話集』(1924)의 관련
 3. 1920년대 『朝鮮童話集』(1924)의 영향과 그 확산
 4. 다치카와 쇼조의 실연동화집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식 Kim, Kwang-sik. 동경학예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