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족 주몽설화의 변이와 의미

원문정보

Modifications in the Folktales of Jumong among Chosunjok and Their Significance

임철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sunjok’s understanding of the Goguryeo kingdom is very positive. In their folktales of Jumong, Chosunjok traces their ethnic and cultural roots back to the ancient Goguryeo era. The existence of Chosunjok in the present Chinese territory originates in the migration of the people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y seek their origin in Goguryeo because they have left the Chosun Dynasty due to the adversities they have suffered there and Goguryeo was a nation founded on the dwelling place of Chosunjok, which is today’s Chinese soil. Chosunjok’s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re more clearly grasp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of Buyeo and Jumong as well as between Buyeo and Goguryeo, which is found in a modified form in the folktales of Jumong. Unlike the myth of Jumong, the folktales describe that Jumong is, though illegitimate, a son of a king of Buyeo and Goguryeo is a successor to Buyeo, only with a new name. These changes found in the folktales of Jumong reveal the intention to underline that Chosunjok are not illegal aliens who have sneaked into China but residents who have lived for generations on the soil of their ancestors, that is, they are part of Chinese people. This view in turn resulted in sympathizing, if inadvertently, with the view of history spread by the Chinese government of late that Buyeo, Goguryeo, and Balhae are all part of Chinese history. Behind this historical perception Chosunjok embraced lies the need for giving priority to being incorporated into Chinese society for survival over claiming their ethnic identity.

한국어

조선족의 고구려에 대한 인식은 조선왕조와는 달리 매우 긍정적이다. 조선은 버림받거나 살기 힘들어 떠나온 곳이고, 고구려는 조선족의 거주지에 존재했던 국가였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영토가 현재의 중국과 한국에 걸쳐 있었다는 점에서 조선족의 민족적 기원을 고구려에 두는 것은 중국과 조선 두 나라와의 친연성을 강조하는 결과가 된다. 조선족 주몽설화 가운데에는 주몽신화 전승에서 변이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설화는 다양한 변이를 보이고 있다. 조선족의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은 주몽설화 전승에서 변이된 부여 왕과 주몽, 부여와 고구려의 관계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파악된다. 주몽신화와 달리 주몽설화에서 주몽은 비록 서자이기는 했지만 부여 왕의 친아들이고, 고구려는 부여를 계승하여 이름만 바꾼 국가로 되어 있다. 조선족은 이러한 고구려에 뿌리를 둔 민족이고, 조선족의 정신 또한 고구려 정신을 계승했다는 것이 조선족 주몽설화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주몽설화의 변이에는 조선족이 19세기 중엽부터 조선인의 이주에 의해 형성된 천입민족, 과경민족, 즉 불법체류자가 아니라 조상의 땅에 대대로 살아온 주인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성이 깔려 있다. 고구려에 대한 조선족의 이러한 인식은 중국의 정책적 역사의식과 상당 부분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부여와 고구려, 그리고 발해가 중국 역사의 일부라는 중국의 역사인식에 동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이 이러한 인식을 갖게 된 배경에는 조선족이 중국의 적이 아니라 중국인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같은 민족이라는 조선족 특유의 민족적 정체성이 깔려 있다. 조선족에게 중요한 과제는 조선인으로서 가져야 하는 민족의식이 아니라 중국 땅에서 중국인인과 더불어 살아야 했던 생존 그 자체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조선족의 형성과 위상
 3. 조선족설화의 형성과 성격
 4. 주몽신화와 조선족 주몽설화 전승
 5. 조선족 주몽설화의 변이와 의미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철호 Lim, Cheol-ho. 전주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