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삼국유사』 「기이」 부여ㆍ고구려 관련 기사의 서술 의도 -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에 대한 역사적ㆍ서사적 접근 -

원문정보

The writing intention of records about Buyeo(부여) & Goguryeo(고구려) in chapter 「Kiyi(紀異)」, 『Samgukyusa(三國遺事)』

엄태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pter 「Kiyi」, 『Samgukyusa』 is the history book and narrative book in one. In Chapter 「Kiyi」, we can find a few interesting records written about Buyeo & Goguryeo. There are 「Buk-buyeo」, 「Dong-buyeo」, 「Goguryeo」, 「Byeonhan Baekje」 in chapter 「Kiyi」, interestingly they are named by writer(s) in different title. The writer left the name 「Buk-buyeo」 & 「Dong-buyeo」 as it is, meanwhile added explanations in the name 「Goguryeo」, 「Byeonhan Baekje」 that 「Goguryeo」 is 「Jolbon-buyeo」 and Baekje in 「Byeonhan Baekje」 is 「Nam-buyeo」. After changing existing records, writer homogenized the meaning of four chapters affiliated with 'buyeo'. Then why did writer intend four records as the story of 'buyeo'. Because the writer wanted to appreciate the history of Buyeo and Goguryeo, and spoke that the territory of two countries was larger than we had known.

한국어

본고는 『삼국유사』 「기이」의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변한 백제>, <남부여 전백제 북부여> 등의 기사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이들 기사가 고구려, 백제를 ‘부여 계열 국가’로 인식하고, 고구려를 졸본부여로, 백제를 남부여로 명명하고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찬자가 비단 국가명만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그 내용에 있어서도 부여 계열 국가로서의 면모를 설명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기사를 중심으로, 부여와 고구려의 역사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찬자의 의도를 살폈다. 찬자는 글 배치의 변화 및 관련 기록의 생략 및 추가, 적극적인 주석 작업 등을 통해 기사에 자신의 서술 의도를 효과적으로 녹여냈다. 서술 의도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북부여의 계승자는 동부여의 해부루(금와, 대소)가 아니라 졸본부여의 주몽이다.’와 ‘졸본부여는 북부여를 계승하여 북부여와 같은 위치에 나라를 세웠는데, 그곳은 다름 아닌 요동지역이다.’이다. 찬자는 이러한 자신의 주장에 맞춰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기사를 서술하였다. <북부여>는 북부여 그 자체보다도 후대 부여 계열 국가의 존재 양상에 포커스를 맞추어 서술이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북부여 발원의 위치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개진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부여 계열 맥락화의 단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부여>는 부여 혈통에서 해부루 및 그 후손들을 배제시키고, 그 자리에 주몽을 대체하려는 목적에서 서술이 되었으며, 아울러 그 과정에서 북부여 발원지의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서술 전략이 엿보였다. <고구려>는 이상 두 기사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확인하고 강조하며 보호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었다. 이에 주몽의 부여 계승적 면모를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고, 졸본부여의 위치와 관련하여 일말의 혐의도 남기지 않고 관련 기록들에 조목조목 입장을 개진하였다. 결국 세 기사는 일관된 하나의 입장을 토대로 작성이 된 것으로, 이를 통해 『삼국유사』 찬자가 신라의 역사와 함께 부여 계열 국가들의 역사를 고려의 시원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역사축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문제제기
 3. <북부여>의 서술 의도
 4. <동부여>의 서술 의도
 5. <고구려>의 서술 의도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태웅 Eom Tae-ung. 강원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