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경판본 흥부전>의 두 가지 번역지평 - 알렌, 쿠랑, 다카하시, 게일의 <흥부전> 번역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wo Translation Approaches to Heung-boo Jeon Published in Seoul - Focus on Heung-boo Jeon Translated by Allen, Courant, and Gale -

이상현, 이진숙, 장정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wo translation approaches to Heung-boo Jeon with focus on H. N. Allen, Maurice Courant, Dakasi Doru(高橋亭), and Hosoi Hajime(細井肇), all of whom selected Heung-boo Jeon published in Seoul as their source text. It is needless to say a Korean classical novel whose language was Hangul and which was published as type of book was regarded as 'a oral text' and 'a literary text.' The former contained Koreans' colloquial language and latter showed the Koreans' unique characteristics. Translations of Heung-boo Jeon embodied their translation approaches to the original as 'a fairy tale' and 'a literary text. These two approaches coexisted in the translations of Heung-boo Jeon. The primary reason was that Korean language had different relations with French, English, and Japanese. That is, the command of Korean language and their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Koreanology from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to the Japanese in Korea were in different levels. At the same time they thought of Heung-boo Jeon as 'a traditional fairy tale' and they translated the Heung-boo Jeon as kind of 'a folk tale'. This approach to Heung boo Jeon published in Seoul created a new abridged version of Heung-boo Jeon. On the contrary, translation of Heung boo Jeon regarded as a literary text ha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l translation and it shows how hard it is to translate detailed expressions of the original.

한국어

본고는 <경판본 흥부전>을 저본으로 한 알렌, 쿠랑, 다카하시 도루, 게일의 번역사례를 중심으로, <흥부전 번역본>의 두 가지 번역지평에 관해 고찰했다. 물론 ‘한글’과 ‘서적’이라는 조건을 동시에 구비한 고소설은 외국인에게 한국인의 구어를 보여주는 ‘구술물’이자 한국민족의 고유성을 담지한 ‘문학텍스트’로 인식되었다. 그렇지만 <흥부전 번역본>은 이러한 ‘설화’와 ‘문학텍스트’라는 번역 지평을 동시에 구현했으며, 늘 이 두 가지 번역지평이 공존하는 독특한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일차적으로 불어, 영어, 일본어와 한국어가 지녔던 서로 다른 관계망에 의한 것이었다. 즉, 파리외방전교회로부터 한국주재 일본인으로 이어지는 외국인의 한국어학과 한국어에 관한 인식수준의 차이로 발생했던 사건이다. 동시에 <흥부전>이 ‘전래동화’란 측면에서, ‘설화’라는 번역지평 하에 지속적으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기도 하다. ‘설화’로서의 <경판본 흥부전>의 번역은 원전에 대한 축약을 통해 ‘설화화’된 새로운 원전의 형상을 창출했다면, ‘문학텍스트’로서의 <경판본 흥부전>의 번역은 원전의 세밀한 언어표현에 관한 번역의 난제를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알렌ㆍ다카하시의 <흥부전> 번역과 ‘참조저본’으로서의<경판본 흥부전>
 3. 쿠랑ㆍ게일의 <흥부전> 번역과 고소설 번역의 아포리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현 Lee, Sang-hyun. 부산대
  • 이진숙 Lee, Jin-sook. 세명대
  • 장정아 Jang, Jung-a. 부산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