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ㆍ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사회과교육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관한 연구 -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갈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Disjunction between Ideal and Reality of Social Studies with the Revis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 Focused on the Conflic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김응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would like to examine a disjunction between an ideal sought by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reality that is actually observed through issues and conflicts surround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ociated with the revis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o foster talents with creativity convergence that meet the demands of knowledge-based societ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sought integration of courses in social studies, that is,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This has been an ideal that has consistently been pursu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but it has also served as a means to reveal the reality of repetitive conflicts among three major social studies subjects (history,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with regards to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bbed as the “grand integration of disciplines”. In particular, the conflict surrounding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s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s sheds quite a new light on the matter between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with history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and among geography, social studies and morals and ethics (world history included), which has been recent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 would like to propose a practical and active solution to address a disjunction between an ideal of seamless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reality characterized by the conflict among different disciplines from a positive and optimistic perspective.

한국어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드러나는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을 둘러싼 쟁점과 갈등을 통해 사회과교육이 추구하는 이상과 실제로 드러나는 현실의 괴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통합 구성, 즉 통합 교육과정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이 성립 이래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이상이었으나 ‘분과 대 통합’이라는 사회과 내용구성방식을 둘러싼 사회 3과(역사, 지리, 일반사회)의 반복적인 갈등이라는 현실이 드러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 통합사회를 둘러싼 갈등은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역사과목의 독립 이후 중학교 사회에서는 역사 영역이 제외된 상태에서 지리와 일반사회 사이에서 교과서의 구성 형태를 중심으로 갈등이 드러난다. 반면 고등학교 통합 사회에서는 도덕·윤리까지 포함되어 지리, 일반사회, 도덕·윤리(세계사는 포함) 사이에서 실질적인 통합교육과정의 구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과 통합이라는 이상과 영역 간의 갈등이라는 현실의 괴리 현상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관점에서 현실적인 또는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사회과교육의 이상
  1.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이상: 창의·융합형 인재
  2. 사회과교육의 이상: 시민성을 위한 사회과 통합교육과정
 III. 사회과교육 내용구성방식에 대한 여러쟁점과 갈등의 현실
  1. 총체적 갈등 양상을 드러내는 사회과교육의 현실
  2. 사회과교육의 갈등의 핵심 쟁점
 IV.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이상과 현실의 괴리 현상
  1. 이상과 현실의 괴리 현상의 형성과 확산
  2. 이상과 현실의 괴리 현상의 해결 실마리
 V.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응현 Kim Eung Hyun. 소래고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