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과 몽골 사이의 교역구조 및 경제협력 방안

원문정보

International Trade Pattern between Korea and Mongolia and Policy Alternatives for Economic Cooperation

한종수, 최원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ongolian economy status quo and the international trade pattern between Korea and Mongolia and policy alternatives for economic cooperation. Mongolian economy experienced minus economic growth rate through harmful side effects via economic system transformation in early 1990s. But it has made impressive progress in developing its economy over the past decade. Spearheaded by foreign direct investment financed development of the mining sector, per capita income has increased five-fold over the past decade. Mongolian economic growth rate marked 17.5% in 2011 and over 10% in recent successive three years. Considering large scaled foreign direct investment flowed in Mongolian mining sector and the 90% of total export was mineral products, the growth engine of Mongolia will be invariably mining sector. It was showed that roughly 90% of total export was mineral products and roughly 70% of total import was manufacturing products in 2012. If this type of international trade pattern is stylized in the future, large scaled trade deficit will be remained and impede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The international trade between Korea and Mongolia has increased incessantly since friendly relationship in 1990. But the international trade between Korea and Mongolia remains weak because of poor infrastructure containing transportation system, and Russia and China’s influence over Mongolia etc. But considering that Korea will need persistently mineral resources for economic growth, and Eurasia Initiative recently suggested in Korean government, the international trade between Korea and Mongolia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Some policy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ongolia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tional trade between Korea and Mongolia should be expanded. Second, Korea should increas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mining sector and social infrastructure containing construction and cooperation in the area of chemical,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re important. Third, It is necessary for Mongolia to learn Korea’s economic growth experience for successful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and in this respect the Korea-Mongolia Economic Cooperation Committee(KMECC) which interchang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for mutual development. Lastly, economic cooperation should be practised in the level of equal partnership.

한국어

몽골경제는 체제전환에서 오는 부작용으로 인해 1990년대 초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이후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해 왔으며, 2000년대 들어와서는 두드러진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2011년에는 17.5%에 달하는 고도경제성장을 달성한 바 있고, 이후에도 10%를 상회하는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농․목축업이 지배적인 전통경제에서 벗어나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더불어 중위소득국가(middle-class country)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도경제성장을 가능케 한 것은 10대 자원부국으로 알려진 몽골의 풍부한 광물자원에 기반한 광업부분의 성장에 기인한 것이었다. 즉 몽골의 광물자원 확보를 위해 대규모의 외국인직접투자가 유입되고, 광물자원의 수출이 몽골수출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광업부문은 실로 몽골의 성장엔진이다. 2012년 몽골전체 수출액의 약 90%가 광물자원이며, 수입액의 약 70%가 제조업 제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역구조가 고착화된다면 몽골은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함은 물론이거니와, 오늘날 선진국들이 걸어온 정상적인 경제성장 및 발전경로를 밟을 가능성이 희박해진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한국과 몽골의 교역은 1990년 수교 이후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경제성장에 필요한 주요 자원인 원유나 동에 대한 대외의존도가 거의 100%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몽골의 광물자원 확보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열악한 물류운송망에 따른 자원의 수송문제, 중국과 러시아의 몽골에 대한 영향력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몽골 광업부문에 대한 투자는 아직 초보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현 정부에 들어와서 제창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Eurasia Initiative)" 관점에서 보면 한국과 몽골과의 협력이 절실하기 때문에 향후에는 몽골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교역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몽경제협력을 위해서는 첫째, 양국의 교역규모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둘째, 직접투자의 확대를 통해 몽골의 광업부문과 사회적 인프라건설부문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으며, 화학분야와 농․축산업분야의 협력도 매우 중요하다. 셋째, 과거 한국의 경제성장 경험을 공유하여 몽골의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인적 및 물적 교류를 위한 (가칭)한몽경제협력위원회를 구성하며, 마지막으로 몽골을 경제협력을 위한 대등한 파트너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몽골의 경제 현황 및 교역구조
  1. 몽골의 경제 현황
  2. 몽골의 교역구조
 Ⅲ. 한국의 대몽골 교역 및 투자
  1. 한몽간의 교역
  2. 한국의 대몽골 투자
 Ⅳ. 한몽경제협력 방안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종수 Han, Jong Soo. 단국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최원익 Choi, Won Ick. 단국대학교 국제통상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