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영식과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운동실천의 비교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Comparing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Practice of Peace Movement

하영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s and considers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practice of peace movement. Five elements of the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the two people’s activities are as follows:1) Practicing the ideology of peace in a college education2) Proceeding peace movement through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s)3) Developing peace movement through religion4) Asserting and Practicing peace movement through UN. By the fact that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 founded Kyunghee University and Soka University respectiv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wo people’s ideology of education for peace is being applied to a college education. GCS International Club, which was founded by Young-Seek Choue in Korea, has been registered as a consultative body of ECOSOC of UN(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nd SGI, which was established by Daisaku Ikeda in Japan, also takes an active part as NGO in ECOSOC of UN and UNESCO. As for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similarities, first, both of them opposed war and took the initiativ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ful society. Their eventual purpose was establishing a welfare society of humankind who enjoys happiness both mentally and materially by opening the second Renaissance era. Second, they insisted that the fundamental prescription for world peace was forming universal solidarity and diverse alliances were required for it. Third, they were ‘organizational practical-minded persons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movement. In contrast, as for their differences, Young-Seek Choue’s practical prescription for peace movement was acting on it by focusing on ‘peace education,’ while that of Daisaku Ikeda was developing it through ‘Nichiren Buddhism.’ Young-Seek Choue pushed for peace movement through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University Presidents, Institute for Human Society, and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and so on.It is worth noting that GIP was awarded ‘the UNESCO Prize for Peace Education’ in 1993, and in particular, intellectuals of China and Taiwan currently embrace GIP’s Oughtopia Peace Theor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points. Young-Seek Choue was the very person who took the lead in legislating ‘International Day of Peace’ in 1981(every September 21) by persuading UN based on ‘Costa Rican Resolution.’ Daisaku Ikeda paid visits to a number of countries, conversed with Zhou Enlai, Toynbee, Gorbachev, and Galtung, and so on in person, and propagated peace through SGI and Nichiren Buddhism. More than anything else,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ultimate purpose was welfare of humankind.

한국어

본 연구는 조영식과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운동의 실천에 대한 비교고찰이다. 비교분석의 요소는 대학 교육에서 평화 이념의 실천. NGO 조직을 통한 평화운동의 진행. 종교를 통한 평화운동 전개. 유엔을 통한 평화운동의 주장과 실천 4가지로 고찰하였다. 조영식과 이케다는 각각 경희대학교와 소카대학을 설립하고 그 교육과정에 평화관련 과목을 설강함으로써 평화에 대한 교육이념이 대학교육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사람의 단체들은, 한국에서 창설된 GCS국제클럽은 유엔경제사회이사회 자문기구로 등록되어 있고, 일본의 SGI 역시 유엔경제사회 이사회와 유네스코에서 NGO 로 활약하고 있다. 조영식과 이케다의 공통점으로는, 첫째, 그들은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스런 사회를 구축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제 2르네상스 시대를 열어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행복한 인류의 복지사회를 만드는 것이었다. 둘째, 그들은 세계평화를 위한 근본적인 처방은 세계적 연대를 이루는데 있으며 다양한 연합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셋째, 그들은 평화운동전개를 위한 ‘조직적 실천가들’ 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조영식의 평화운동의 실천적 처방은 ‘평화교육’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나갔으며, 이케다의 평화운동의 실천적 처방은 ‘리치렌불법’을 통해 전개해 나갔다. 조영식은 세계대학 총장협의회, 인류사회재건 연구원, 국제평화연구소 등을 통해 이를 추진하였다. GIP는 1993년 ‘유네스코 평화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특히 중국과 대만의 지식인들이 오토피아 평화이론을 수용하고 있음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케다는 리치렌불법을 192개 국가로 확산시켜 평화운동을 1순위로 전개하며 특히 다양한 평화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조영식은 ‘코스타리카 결의문’를 기초로 유엔을 설득하여 ‘세계평화의 날’(1981년 제정, 매년 9월21일)을 제정하도록 실천한 장본인이다. 이케다는 수많은 국가를 방문하였고 주은래, 토인비, 고르바쵸프, 갈퉁 등을 만나 대담하였으며, SGI와 리치렌 불법을 통해 평화에 대해 전파하였다. 무엇보다도 조영식과 이케다 두 사람의 평화운동실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류의 복지에서 찾을 수 있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III. 조영식과 이케다 다이사쿠의 생애와 평화사상의 배경
  1. 조영식의 생애와오토피아 평화사상
  2. 이케다 다이사쿠의 생애와 리치렌 불법(日蓮 佛法)
 IV. 조영식과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운동 실천의 비교
  1. 대학 교육에서 평화이념의 실천
  2. NGO 조직을 통한 평화운동의 실천
  3. 종교를 통한 평화운동 전개
  4. 유엔과 국제사회에서 평화운동의 주장과 실천
 V. 결론
 부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하영애 Ha, Young-Ae.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