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한 삶의 의미와 선 학습의 방법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원문정보

Aristotle’s Viewpoints on the Meanings of Good Life andWays of Learning to be Good

박재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xcellence of executing the soul’s activities with rational principles is the moral virtue, and the human life in accordance with it is the good and happy life. The man who leads the good life always decides through deliberation and choice what he should do and what he shouldn't do. The choice is made up of the combination of reason and correct desires. The happy and good life of human being is such practical life. Therefore, the true moral education must be aimed at not knowing of rightness but learning to be good. Through the true moral education, we can make the students become not knower about moral virtue but good man by doing and feeling in accordance with moral virtue. Then the knowing of the propriety of actions and emotions in a broad variety of circumstances is the starting point of putting the good actions and emotions into the habitual practices and becoming good person. The knowing of the propriety of actions and emotions is not only the knowing of the facts(=the that) but also the reasons(=the because) of the propriety. And moral virtues as the substance of learning to be executor is similar to arts as that of practical skill subjects. As in a case of practical skill subject, virtuous actions and emotions must be done to lead a good life. However, the both cases of practical skill subject and moral education are not entirely similar. The arts require proper practice of proper actions, but moral virtues require knowledge, choice, and firm and unchangeable character as the conditions of executing the good actions and emotions. That is, the arts are made up of only extrinsic conditions, but the moral virtues are made up of intrinsic and extrinsic conditions. And according to Aristotle, not only the pleasure but also the pain and the shame has power of motivation in the moral judgments. The virtuous men take the pleasure in their virtuous actions because of knowing their actions to be virtuous. However, making the many men to be virtuous is composed of more the pain and fear of punishment connected with the vicious actions than the pleasure connected with virtuous actions. They can lead to moral development by internalization of the pain and fear of punishment. They feel shame and embarrassment on themselves acting badly by getting punished for bad actions. Thus the shame is the significant emotion in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character, and correct shortcomings immersed in passions, familiarize with the noble and just things.

한국어

이성적 원리를 소유하고 그것에 순응하는 영혼의 활동을 탁월하게 시행하는 것이 인간의 선이자 행복인 것이다. 여기서 이성적 원리에 순응하는 영혼 활동의 탁월성이 도덕적 덕이다. 선한 삶을 사는 사람은 개별적인 것과 관련하여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숙고와 선택의 과정을 통해 결정한다. 선택은 이성과 올바른 욕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성과 욕망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실천적인 삶이 행복하고 선한 삶인 것이다. 그런데 진정한 도덕교육은 옳음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선함의 습득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적 덕이 무엇인지를 알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덕에 따라서 행위하고 정서를 가지는 선한 삶을 사는 사람이 되도록 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진정한 모습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선한 행위와 정서의 실행을 습관적으로 행할 수 있고 그래서 선한 삶을 살아가는 선한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의 출발점은 도덕적 덕 내지 적절성(=중용)에 대한 앎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 앎의 내용은 어떤 상황에서 실행되는 어떤 행위와 정서가 적절한 것인지를 아는 것이다. 행위와 정서가 그 상황에서 적절한 것이라는 점을 안다는 것은, 사실에 대한 앎만이 아니라 무슨 이유로 그 행위와 정서가 적절한지, 즉 이유에 대한 앎도 포함되어야 한다. 그런데 덕스러운 행위와 정서 실행 교육의 내용인 도덕적 덕과 다양한 실기교과들의 내용인 기술들은 유사하다. 기술의 경우에서처럼, 선한 삶을 살기 위해 덕을 따르는 선한 행위들을 실행해야 한다. 그러나 기술들의 경우와 도덕적 덕들의 경우는 일치하지 않는다. 기술들은 그 자체로 그것들의 좋음을 가지기 때문에 적절한 행위들의 적절한 실행만을 요구하지만, 도덕적 덕은 선한 행위들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들로 지식, 선택, 성품을 요구한다. 기술은 외부적인 조건만을 가지지만 도덕적 덕은 외부적인 조건과 내부적인 조건을 함께 지닌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즐거움과 괴로움 그리고 부끄러움이 도덕적 판단에서 동기를 유발하는 힘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덕스러운 사람들은 그 행위들이 덕스럽다는 점을 알기 때문에 덕스러운 행위들을 즐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드는 것은 덕스러운 행위들과 연계되는 즐거움이 아니고, 오히려 포악한 행위들과 연계된 괴로움과 처벌의 두려움이다. 그들은 괴로움과 처벌들의 두려움을 내면화시킴에 의해 도덕적 발달에 진전할 수 있다. 그들은 잘못된 행위에 처벌을 받음으로써 그런 행위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게 된다. 부끄러움은 성품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정서이며, 열정들에 몰두된 실수들을 고치게 하고, 고상하고 정당한 것에 익숙해지게 만든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선과 선한 삶
 Ⅲ.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선 학습의 방법
  1. 옳음에 관한 앎보다는 선 습득 중심
  2. 사실보다는 사실과 이유 중심
  3. 기술의 습득과는 다른 도덕적 덕의 습득
  4. 즐거움과 부끄러움 느끼기를 통한 선한 삶 습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재주 Park, Jae-Joo. 청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