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gital divide factors influencing low income group's internet-based participation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m, I reviewed rationale of digital divide and conceptualized digital divide as IT usage abilities divide. As a result, I found that various IT usage abilities exercise influence on participation type according to abilities divid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Above all things, to enhance internet-based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pc-based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sharing and networking abilities should be facilitated. Also, usage abilities of mobile smart device need for internet-based social participation and usage abilities of pc and mobile smart device with low income group below one million won must be encouraged for internet-based economic participation. Finally,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aged including underaged person is to be carried ou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IT 활용능력의 차이, 즉 정보격차가 저소득층의 인터넷기반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보격차와 저소득층의 인터넷기반 참여활동의 관계에서 경제적 소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인터넷기반 사회참여 및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IT 활용능력에 따라 다양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경제적 소득과 결합할 때 사회참여 및 경제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분석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의 인터넷기반 참여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기반 사회참여 및 경제참여 활성화를 위해 PC기반 정보생산, 공유능력과 PC기반 네트워킹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인터넷기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모바일 스마트기기 이용능력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월평균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사람들의 인터넷기반 경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데스크탑, 노트북 등) 이용능력을 강화하고, 모바일 스마트기기에 친숙한 사람들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비청장년층의 정보화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정보격차의 개념과 원인에 관한 논의들
2. 정보격차의 요인으로서 IT활용능력
Ⅲ. 연구모형
1. 분석 틀
2. 주요 변수와 측정지표, 분석방법 및 자료수집
Ⅳ. 분석결과
1. 상관관계 분석결과
2. 인터넷 사회참여 활동의 영향요인 분석결과
3. 분석적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