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ale inmates, correctional officers, gender stereotypes and male inmates’ stres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inmates’ gender stereotypes for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and its impact on their stress level while they are doing their time in prison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uses a set of survey data of 216 male inmates collected from prisons nationwide. The data contains information regarding male inmates’ perceptions towards male and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as well as their stress level in pris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le inmates have low level of gender stereotype against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none of male inmates’ gender perceptions toward female officers has impact on the inmates’ reported stress. Rather, perceptions toward the entire correctional officers, which include both gender officers, have influence on the inmates’s stress during incarcer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male inmates consider female officers as a part of professional correctional organization without specific gender stereotype or perceptions toward female officers. It indicates that the concer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inmates and female officers may be a mere myth rather than a serious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as a barrier for expand female officers carrier opportunity in the corrections systems.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findings for preventing suicide attacks a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남자수용자들의 성고정관념적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남자수용자들의 성고정관념적 인식과 태도가 이들의 교정시설에서의 적응문제, 특히 스트레스의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의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남자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된 219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연구가설 4개를 세워 각 연구가설에 따른 분석의 수행결과, 남성수용자들의 여성교도관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남성수용자들의 수용생활 중의 스트레스의 수준에 여성교도관들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자수용자들의 전체 남녀교정직원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이들의 수용기간 동안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수용자들이 여성교정직원들을 여성으로 인식하기보다 전문적인 교정직원의 일원으로서 남녀의 구별없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학문적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결과와 논의에서 더욱 논의되었다.
목차
I. 서론
II. 연구의 배경 및 선행연구분석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