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금합자보(琴合字譜)』소재 악곡의 관현 선율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the Geumhapjabo Score-based Tunes' String and Instrument Melodies

정화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f Geumhapjabo score-based tunes, five tunes, including the Geomungo and Daegeum [jeok] notes-supported Pyeongjomandaeyeop, Pyeongjobukjeon, Yeominnak and Boheoja, and the latter part Bipa notes-supported Mandaeyeop were compared as to the melodies of Geomungo, Bipa and Daegeum in order to identify the interv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aid instruments. As a result, the three tunes, Pyeongjomandaeyeop, Pyeongjobukjeon and the Bipa Mandaeyeop were dominated by different sound performance, quite distancing themselves from a monody tune, while the two tunes, Yeominnak and Boheoja, were dominated by the same sound performance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a prototype of monody tune. Tunes, where the two categories were distinctively divided, were also obvious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extant performance and the classification of Hyangak or Dangak. The three tunes, which have not survived to present time, belong to Hyangak, while the extant two tunes belong to Dangak with Hwangjong's pitch being c. Of Hangyak tunes, such tunes as the extinct Siyonghyangakbo Score's Hoengsalmun and Daeakhubo Score's Jahadong, among other Hyangak tunes shown in ancient scores, see the wind and string instruments considerably play other sounds, making harmonic acoustic effects prominent. Given this situation, tunes with high harmonic acoustic effects were steadily shunned by people, while tunes with monody features were steadily liked by people, eventually allowing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to consist of monodies, suggesting that such trend became part of major Korean music features.

한국어

『금합자보』소재 악곡 중 거문고와 대금[적]보가 함께 병기되어 있는〈평조만대엽〉ㆍ〈평조북전〉ㆍ〈여민락〉ㆍ〈보허자〉와 후미의 비파〈만대엽〉등 총 5곡을 대상으로 하여 거문고‧비파와 대금의 선율을 상호 비교하여 두 악기 간에 어떠한 음정 관계가 형성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평조만대엽〉ㆍ〈평조북전〉비파〈만대엽〉3곡은 서로 다른 음의 연출이 지배적이어서 단선율 음악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지만,〈여민락〉ㆍ〈보허자〉2곡은 단선율 음악의 전형으로 삼아도 될 정도로 동일 음의 연출이 지배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두 부류로 확연히 구분되어 나타나는 악곡들은 현행 여부 면에서, 또 향악이냐, 당악이냐에 따라 확연히 구별되었다. 현재 전승이 단절된 전 3곡은 향악에 속하지만, 현행되고 있는 후 2곡은 황종의 음고를 “c”로 하는 당악에 속한다. 현재 전승이 단절된『시용향악보』의〈횡살문〉이나『대악후보』의〈자하동〉등 고악보에 전하는 향악곡들 중에도 역시 관현이 상당 부분 다른 음을 연주함으써 결과적으로 화성적 음향효과가 두드러지는 악곡들이 산견된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화성적 음향효과를 지닌 악곡들은 사람들에게 점차 기피된 반면, 단선율 음악적 속성을 지닌 악곡들은 꾸준히 사람들에게 선호되어옴으로써 종국에는 “한국음악은 단선율로 이루어졌다”는 점이 한국음악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로서 자리하게 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평조만대엽〉의 거문고와 대금 선율 비교
  2. 〈평조북전〉의 거문고와 대금 선율 비교
  3.〈여민락〉의 거문고와 대금 선율 비교
  4.〈보허자〉의 거문고와 대금의 선율 비교
  5. 비파〈만대엽〉의 비파와 대금의 선율 비교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화순 Jeong Hwa-soon. 청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