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deology and Issues of Political Confucianism in 21c China
초록
영어
In the times of ‘The rise of China’, ‘Political Confucianism’ has raised as the new Ideal type for reinforcing the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rough persisting Political Confucianism, Chinese Neo-confucianists intend to construct the unique political model of China, beyond the scientific innovation. Jiang Qing(蔣慶), Yao Zhongqiu(姚中秋), Gan Chunsong(干春松), the representative exponents of Political Confucianism, criticize that Neo-confucianism, producted by Taiwan Neo-confucianists, do not concern the reality of China, just concentrates on the academic research, so call them ‘Mind Confucianism’, ‘the exhibit of museum’, ‘the history of philosophy’, ‘Ideal history’. Their alternative type to existing Confucianism, proposed by them, is so called ‘Political Confucianism’, ‘People’s Confucianism’, ‘Institutional Confucianism’. Their argument is connected to the idea of searching for Chinese model in the times of ‘The rise of China’. Neo-Confucianists in Chinese continent orient their Confucianism as the idea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and have difference to the Neo-Confucianism in Hong Kong and Taiwan. In January of 2015 Li Minghuei(李明輝), the successor of Neo-Confucianism in Taiwan, criticized the argument of Political Confucianism. His criticism cause the debate between the Confucianists of Chinese continent and Taiwan. Their debate revealed the difference of the view on the Neo-Confucianism and social context of both sides. Furthermore it is relevant to the view on modern Western political theories, Chinese modern history since New Culture Movement, based on pursuing Western modernity. The main point in criticizing Li Minghuei is that Li cannot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hina, insist that their Confucianism is the result of dealing with the Chinese situation. The hole process of argument and debates on Political Confucianism reveal that Chinese Confucianism have continued to develop, through searching for reinforcing its influence on Chinese reality.
한국어
오늘날 중국 유학계에서는 유학의 정치적 전변을 통해 유학의 현실 개입성을 강화하려 는 움직임이 형성되고 있다. ‘정치유학’으로 지칭되는 이 경향은 단순한 학술의 혁신을 넘 어 ‘중국 굴기’ 시대에 중국식 정치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욕망을 발산하고 있다. 정치유 학을 주창하는 장칭, 야오중추, 간춘쑹은 기존의 현대 신유학이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고 비판하고 이를 ‘심성유학’, ‘박물관화/철학사’, ‘관념사’ 등으로 규정한다. 그 대안으로 ‘정 치유학’, ‘인민유학’, ‘제도유학’ 등을 제시한다. 이들은 ‘정치유학’을 서양 근대성을 극복 하는 동시에 홍콩/대만의 현대 신유학과 구별 정립되는 이념으로 위치 지운다. 2015년에 는 현대 신유학의 계승자인 리밍후이가 정치유학을 비판하면서 정치유학 논쟁이 일어났 다. 이 논쟁은 현대 신유학에 대한 양자의 인식 차이와 양자가 처한 정치사회적 환경의 차이를 드러낸다. 더 나아가 서양의 근대 정치이론과 그것의 영향력 하에 진행된 신문화 운동, 그 이후 중국근대사에 대한 인식에까지 연루된다. 여기서 대륙의 유학자들은 리밍 후이의 비판이 대륙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비판하고, 대륙의 신유학이 중국의 현실에 대응한 산물임을 강변한다. 정치유학의 등장과 논쟁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유학이 현실 개입성 강화를 꾀하면서 자기발전을 수행한 결과물이 다. 현실개입이라는 목적의식 하에 정치유학은 향후 중국의 행보를 논하는 중요한 담론 으로 자리 잡고 있다.
목차
1. 중국의 길과 유학의 전변
2. ‘정치유학’의 이념과 특징
1) 정치유학의 논법
2) 중국적 가치에 대한 각성
3. 2015년 정치유학 논쟁
1) 리밍후이의 장칭 비판
2) 대륙 유학계의 반향
3) 장칭의 반비판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