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명 조식철학에 나타난 ‘낌새[幾]’관의 논리 구조와 의의

원문정보

The Logical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Ji 幾 (Omen)” in Cho Sik’s Philosophy

이철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hilosophy of Cho Sik 曺植(Nammyeong 南冥, 1501-1572) is well reflected in his concept of “ji 幾 (omen)”. Cho Sik attempted to harmonize his metaphysical principles and his practical teachings through the concept of “ji”. He held that the way of heaven is cheng 誠 (sincerity) and cheng resides in human mind. According to him, the ideal life is to embody the sincere xing 性 (human nature) in actual society. He regarded a sage as someone who actualizes the ideal life and he pursued such an ideal life as sages. In his view, xing embracing cheng is not always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sometimes xing shows up in the evil way.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take a careful look at the “ji (omen)” of xing. Since the careful examination of “ji” is important, the Zhouyi 周易 (Book of Changes) views the understanding of “ji” as a mysterious and marvelous ability. Also, Zhou Dunyi 周敦頤 (1017- 1073) put the same importance as cheng on “ji”. Many Neo-Confucian scholars including Zhu Xi 朱熹(1130-1200) gave detailed explanations to the Zhou Dunyi’s view and Cho Sik also followed the views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Cho clearly explained his view on “ji” in his illustrated books such as Chengtu 誠圖, Jitu 幾圖, and Xinweiyanshidu 心爲嚴師圖. He argued that cheng is completely pure without a hint of evil and cheng is the ultimate goal of “ji”. Based on this logic, Cho held that people should do their best to direct their xing not to evil but to good. In this regard, Cho emphasized that people should maintain respectful mind and righteous attitudes in order to actualize cheng in actual society. This way, he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keeping respectful and righteous attitudes in order to make a sound community and live an ideal life. He always kept items such as xingxingzi 惺惺子 (bell) and jinyijian 敬義劍 (sword of respect and righteousness) with him as reminders of his philosophical ideals.

한국어

조식의 ‘낌새(幾)’관은 그의 철학적 사유의 깊이를 반영한다. 조식은 ‘낌새’관을 통해 형 이상학적인 원리와 현실적인 실천 논리의 유기적 결합을 시도한다. 그는 하늘의 길인 ‘성(誠)’이 인간의 마음속에서 ‘성(性)’으로 간직되고 있음을 인정하 고, 이 성(誠)으로서의 성(性)이 순수하게 발현되어 현실사회에서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중시한다. 그는 이러한 이상적인 삶을 성인의 삶으로 여기고, 평생을 그렇게 살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데 이 성(誠)으로서의 성(性)은 항상 선한 방향으로만 발현되는 것이 아니다. 이것 은 때에 따라 악한 방향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성(性)이 발현될 찰나의 ‘낌새 [幾]’를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이 ‘낌새’에 관한 통찰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역』에서는 ‘낌새’를 아는 것을 신묘 함이라고 표현하였고, 이것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주돈이는 이 ‘낌새’를 성(誠)과 신묘함 의 논리에 나란히 위치시켰다. 이러한 주돈이의 관점에 대해 주희를 비롯한 많은 성리학 자들이 상세하게 풀이를 하였고, 조식은 이러한 선배 학자들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계승 하였다. 조식은 <성도(誠圖>와 <기도(幾圖)>와 <심위엄사도(心爲嚴師圖)>를 작성하여,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었다. 그는 ‘낌새’의 논리 근거를 순선무악(純善無惡)의 성(誠)으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낌새’의 지향점 역시 성(誠)으로 여겼다. 이 때문에 성(性)이 발현될 찰나의 ‘낌새’를 잘 살펴 성(性)이 악으로 향하지 않고, 선으로 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는 이러한 성(誠)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항상 안으로 공경한 자세를 갖추고, 밖으로 의로움의 결단을 내려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그가 이상적인 삶을 통한 건강한 공 동체 사회를 이루기 위해 항상 깨어 있으면서 공경과 의로움의 자세가 매우 중요함을 역 설하는 것이다. 그가 항상 ‘성성자(惺惺子)’와 ‘경의검(敬義劍)’을 차고 다니며, 진정한 선 비의 모습을 띨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이러한 사상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낌새’의 논리 근거
 3. ‘낌새’의 갈림
 4. ‘낌새’의 지향
 5. 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철승 Lee, Cheol-Seung. 조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