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佔畢齋 金宗直의 道學思想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Jeompiljae Kim Jong-Jik's Idea of Neo-confucian Philosophy

점필재 김종직의 도학사상에 관한 연구

김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Neo-confucian philosophy of Kim Jong-Jik(1431~1492). Kim Jong-Jik was one of the scholars who carried on the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but his Confucian philosophy was not in spotlight. This paper investigated how his Confucian philosophy reflected in his wide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field to pay attention to his Neo-confucian philosophical phase. Kim Jong-jik did his best to spread practical Neo-confucian that based on Sohak(小學) and Garye(家禮) and strictly followed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sacrificialrites of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He adopted filial devotion(孝), veneration(悌), royalty(忠) and reliance(信) to best standard of behavior. He thought truth can spread through Neo-confucian. The literature was a tool that transmit truth to him. His education activities developed to materialize Neo-confucian. It become known through he attached importance to Sohak, Garye, filial devotion, veneration, royalty and reliance. He cared more about Local politics than national politics in his political view. And he focused on protecting interest civil rights. When he became a local government official, he governed for people and got Joseon dynasty absorb confucian ideology from having ceremonies like Hyangsarae(鄕射禮), Hyangeumjurae(鄕飮酒禮) and Yangnorae(養老禮). Every achievement of Kim Jong-jik was based on confucian and he tried to realize Neo-confucian in Joseon society. He attemped to transmit coming generation. Result of his efforts had the sprit of liberal arts deeply rooted in Joseon society.

한국어

이 논문은 佔畢齋 金宗直(1431~1492)의 도학사상을 조명하기 위해 쓴 것이다. 김종직 은 조선 성리학의 도통 계보에 속한 인물이지만, 그동안 그의 도학사상에 대한 조명은 소홀히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다양한 활동분야 속에 도학사상이 어떻게 투여되어 있 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김종직의 도학적 위상을 새롭게 조명해보려 한다. 김종직이 활동했던 시대는 ‘국정을 전횡하는 勳舊大臣’과 ‘고려의 불교적 遺風’이라는 조선의 儒學化를 막는 거대한 방해물이 버티고 있었다. 이 상항에서 김종직은 『小學』ㆍ『家 禮』를 기반으로 하는 실천유학의 전파에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스스로는 주자학적 冠婚 喪祭를 철저히 수용하였으며, 孝悌忠信을 행동의 최고 규범으로 삼았다. 그의 문학은 文 以載道를 지향하는 도학적 문학관 위에서 펼쳐졌다. 그에게서의 문학은 도를 전달하는 도구였다. 김종직의 문학관은 詞章을 중시하는 훈구파와는 그 성격을 달리한다. 그는 문 학을 도학의 이념을 전하는 도구로 삼았다. 그는 道文一體論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그의 교육활동 또한 도학이념을 실현하고자하는 의도 위에 전개되었다. 그것은 『소학』ㆍ『가례』 및 孝悌忠信을 중시한 데서 알 수 있다. 그의 도학사상은 교육을 통하여 金宏弼과 鄭汝 昌 등에게로 전해져 후세의 성리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의 정치관은 중앙보다는 지방정치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귀족층보다는 백성들의 권익을 보호하 는데 역점을 두었다. 지방관이 되었을 때는 爲民政治를 펴는 한편, 鄕射禮ㆍ鄕飮酒禮ㆍ養老禮 등의 의식을 치르는 등으로 도학이념을 조선사회에 활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김종직의 모든 업적은 도학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그는 조선사회에 도학적 세계관을 실현시키려 하였고, 또 후세에 도학사상을 전파하려 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 의 결과는 조선사회에 유교적 인문정신이 활착하는 데로 이어진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도학의 전파와 김종직의 역할
  1) 15세기의 학계 동향
  2) 김종직의 도학사상
 3. 도학의 현실적 적용
  1) 도학에 근거한 문학관
  2) 도학에 근거한 교육관
  3) 도학에 근거한 정치관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 Kim, Gi. 성균관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