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DABC에 관한 소고 : ABC와의 균형잡힌 비교 및 한계점 지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Balanced and Critical Review of TDABC

신홍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DABC(time driven ABC) was introduced as a solution to solve traditional ABC implementation problems such as high costs of collecting interviews, subjectivity of time allocations and difficulty of maintaining the model, etc. which might have caused relatively low adoption of ABC(ABC Paradox). Existing researches tend to introduce TDABC as a new concept different from ABC and as only alternative to solve existing implementation problems. TDABC supporters published a series of research results proving its powerful capability of solving low-adoption rate problem and usefulness in various managerial decision making situations(e.g., M&A). However TDABC has its own limitations including the inherent estimation errors in time estimation and the assumption of relevant process is already developed and fixed which results in the contraints of BPM execution. Also TDABC promoters are making some exaggerated arguments as if TDABC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BC, free from interview or survey and time data is accurate and easy to get and only solution for solving implementation problems of ABC etc(so-called myths of TDABC). TDABC should be regarded not as an alternative to ABC but as a simple cost model which is based on time-equation and two parameters and more powerful in the organizations where time is representative of major resource capacities such as wholesale, logistics, hotel, library, hospital and container terminal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review TDABC in an objective way so tha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s well as students who study management accounting can have an objective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DABC compared with traditional ABC.

한국어

TDABC는 기존 ABC(이하, 전통적 ABC)의 실행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그동안 진행된 TDABC 관련 연구들은 TDABC가 ABC와는 다른 새로운 모델이라고 다소 과장하여 소개하거나 ABC를 대체할 유일한 기법으로 주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TDABC는 저조한 ABC 도입율 해소에 일조하고, 원가계산의 정확성을 높이고, 다양한 경영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미사용 커패서티의 식별을 통한 희소자원의 재배치 등 장점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해외 학자 및 실무자들은 지나치게 전통적 ABC를 평가절하하거나 TDABC를 과대평가하는 것에 우려를 표하면서 TDABC의 장점과 한계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강조한다. 물론 TDABC는 ABC에 비해 자료수집의 부담이 적고 시간방정식을 토대로 거래 유형에 따른 시간수요의 차이를 반영하고 미래 예측에 유용하다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음은 틀림없다, 그러나 시간추정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프로세스 관리의 핵심인 활동간 혹은 프로세스간의 업무체류가 간과되어 있어 프로세스 개선과의 연결이 쉽지 않다는 점 등 나름대로 한계를 갖는다, 또한 TDABC가 전통적 ABC의 모든 약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것처럼 그리고 실질조업도 이용 및 커패서티 관리의 중요성을 마치 ABC는 포기한 반면에 TDABC가 최초로 강조한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자칫 ABC에 대한 그릇된 이해를 가져올 대표적인 오해(myth)에 해당한다. TDABC는 전통적 ABC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안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비교적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시간을 중심으로 커패서티를 파악하고 이들 커패서티를 소요하는 최종 원가대상에의 추적이 용이한 경영환경에 적합한 원가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는 TDABC 도입으로 효과를 거둔 사례가 주로 인적자원의 서비스 시간 측정 및 관리가 중요한 물류 및 유통, 도서관, 호텔, 병원 및 터미날 그리고 보험 및 금융서비스업체 등과 같은 기업이나 조직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TDABC가 국내 실무에 확산되고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TDABC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풀리거나 전통적 ABC와는 별개의 혁신적인 시스템이라고 강조하기 보다는 균형 잡힌 시각에서 전통적 ABC와의 유사점 및 차별점이 무엇인가를 분명히 인식시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TDABC의 탄생과 핵심적 특징
  1. 전통적 ABC의 실행상 문제점 및 TDABC 대두
  2. TDABC의 핵심 구조 및 특징(장점)
 III. TDABC에 관한 국내외 연구의 개관
  1. 국내 연구의 개관
  2. 해외 연구의 개관
 IV. TDABC에 관한 비판적 고찰
  1. 쟁점 #1. 과연 TDABC는 새로운 개념인가?
  2. 쟁점 #2. 과연 TDABC는 원가계산의 만병통치약인가?
  3. 쟁점 #3. 과연 커패서티 관리는 TDABC에서만 가능한가?
  4. 쟁점 #4. TDABC의 시간 측정은 용이하고 정확한가?
  5. 쟁점 #5. 과연 TDABC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가?
 V. 맺음말: 요약 및 미래 연구방향
  1. 요약
  2. 미래 가능한 연구 및 제언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홍철 Shin, Hong-Chul.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