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에 셀프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Learning Flow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홍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s of self-leadership coincide with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learning flow in lieu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Within self-leadership, there are active as well as cognitive elements alongside four positive psychological elements: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y. Through this, several results could be derived. First, self-leadership and cognitive elements stagnated concentration. Secondly, 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y allowed for the development in academic concentration. Lastly, for self-leadership, cognitive elements and concentratio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ppeared to show meditative qualities. From the four positive psychology capital, hope was establish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self-leadership was more effective than cognitive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to allow for the students who have received passive education up till high school, a more active teaching method that allows for students to draw upon their self-leadership skills through both class participation and freedom of choice is needed. Additionally, to reinforce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within the students, more compliments and acknowledgements should be given out to assure a student’s strong points. Lastly, more specified objectives should be set within majors to ensure the heightened sense of achievement throughout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셀프리더적 요인들과 긍정 심리자본요인, 학습몰입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셀프리더십에는 행동요인과 인지요인이 있으며 긍정적 심리자본에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의 4개 요인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셀프리더십의 행동요인과 인지요인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4개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관주의는 유의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 십의 행동요인과 인지요인과 학습몰입사이에 긍정심리자본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긍정심리자본 변인 중 희망요인이 가장 중요하며, 셀프리더십의 행동요인이 인지요인보다 중 요함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고교까지 수동적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셀프리더적 성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자율성이 높은 수업방식으로 전환함이 필요하다. 둘 째,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 자기효능감, 복원력의 영향을 살릴 수 있도록 학생들 개개인의 강점에 대한 지속적 칭찬 및 희망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자신감을 높이는데 주력하여야 한다. 셋째, 전공 및 학습자체의 즐거움과 전공의 긍정적 가치 및 성취감을 느끼도록 구체적 목표를 설 정하고 행동으로 옮기도록 지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3. 상관관계분석
  4. 가설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미경 Hong, Mee Keung. 여주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