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독교학교에서의 도덕교육

원문정보

Moral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박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hristian school is a school that pursues not only the formation of Christian faith but a Christian moral education as well. The two most fundamental factors that limit the extent of Christian moral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are education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 loss of Christian schools’ autonomy through the 1974 standardization policy. Due to the trend of competitive education, Christian schools have failed to achieve whole-person education; the uniform education curriculum put forth by standardization policy has failed to practice moral education. Even the 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does not function as a channel for Christian moral education, since it has been distorted to become a curriculum for a ‘Science of Religion,’ and the Moral Education subject has been a channel for educating political ideology. In order for the Christian school to practice Christian moral education, there are two kinds of tasks, long-term and short-term. The long-term task is to recover the autonomy of the Christian school, and short-term tasks include recovering Christian moral education through chapel service, the Religion subject, the Moral Education subjec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school community.

한국어

기독교학교는 기독교 신앙을 형성하고 이를 성숙시키는 종교적 교육만이 아니라 기독교적 인성을 함양하는 도덕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요청받고 있다. 한국의 초기 기독교학교는 기독교 신앙에 기초하여 도덕적 품성을 함양하여 교회와 민족을 이끌어갈 지도자를 양성하였다. 그래서 기독교학교는 기독교적 건학이념에 따라 기독교 신앙을 교육하고 이에 근거한 도덕 함양을 통해 국가와 민족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학교는 여러 가지 면에서기독교적 도덕교육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가로막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으로는 입시위주의 교육현실과 평준화정책으로 인한 기독교학교의 자율성 및 정체성 상실을 들 수 있다. 기독교학교도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를 거스르지 못한 채 경쟁위주의 교육으로 인하여 전인교육에 실패하고 있으며, 평준화 정책으로 말미암아 준공립학교로 전락하여 획일적인 교육과정으로 인해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종교교육과정마저 ‘종교학 교육과정’으로 변질됨으로 인하여 신앙적 인성교육의 통로가 되고 있지 못하며, 도덕교과는그동안 ‘국민윤리’과목으로서 정치적 이데올로기 교육의 수단이 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기독교학교가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장기적 과제와 단기적 과제가 있다. 장기적 과제로는 기독교 사립학교의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고, 단기적 과제로는 예배, 종교교과, 도덕교과, 교과 외 교육, 공동체를 통해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회복하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학교의 도덕교육: 기독교적 도덕교육
 III. 기독교학교의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가로막는 근본 요인
  1. 입시위주의 교육현실
  2. 평준화정책으로 인한 기독교학교의 정체성 상실
 IV. 기독교학교의 종교교육과정과 도덕교육과정 진단
  1. 종교 교육과정 진단
  2. 도덕 교육과정 진단
 V. 한국 기독교학교의 교과 외 기독교적 도덕교육 사례
  1.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통한 기독교적 도덕교육
  2. 공동체 생활을 통한 기독교적 도덕교육
  3. 학교 환경을 통한 기독교적 도덕교육
 VI. 한국 기독교학교에서의 도덕교육 개선을 위한 과제
  1. 장기적인 과제
  2. 단기적인 과제
 V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상진 Sang Ji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