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蒙山和尙法語略錄』의 서지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Bibliography of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몽산화상법어략녹』의 서지적 연구

김은진, 송일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bibliography of the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Mengshan was a Buddhist monk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y periods. He significantly influenced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Mengshan’s sermons were passed down in manuscript or print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era. In 1467, HyegakJonja Sinmi first compiled the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and translated it into Korean. This book consists of Mengshan’s and Naong’s sermons. Naong’s disciples also contributed to the publishing this book. Together, they combined the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with the Four Buddhist Sermons, Chobalsimjagyeongmun and Naong’s sermons. This shows that Mengshan’s ideas gained popularity during this time. There are 39 known editions of this work in existence. Eleven of those are Korean translation, the others are all written in Chinese. In the Korean editions, Naong’s sermon forms the last part of the book. However, in the Chinese editions, Naong’s sermon precedes the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This is an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Korean translations and the Chinese versions. All known editions were published during the time period between the 15th and 17th century. And about the half of editions were published in the Mt. Jiri area. Another of Mengshan’s book, Six Teachings of Monk Mengshan, was also published during the same tim in the same area. This strongly indicates that Mengshan’s ideas were popular in the Mt. Jiri area during these times.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 전기에 활발한 간행을 보인 蒙山 德異의 『蒙山和尙法語略錄』(『법어약록』으로 약칭)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몽산 덕이는 송․원대 승려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우리나라 불교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이 책은 가장 많은 판본이 현전하지만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언급만 되었을 뿐 집중적으로 연구된 사례는 없다. 연구 결과 이 책은 고려 말 전해진 필사본 또는 간행본 형태의 몽산의 법어를 1467년 간경도감에서 혜각존자 신미가 약록하고 언해하여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법어약록』의 언해 대상이 되는 몽산의 법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법어』를 편찬한 나옹혜근의 제자들 또한 간행에 참여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법어약록』이 『사법어』와 합철되어 전해지고 있으며, 언해본의 경우 한문본과는 다르게 보제존자 나옹의 법어가 마지막 부분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언해본은 이 후에 여러 차례 중간되었고 한문본은 1525년이 되어서야 대광사본을 시작으로 17세기까지 간행되었다. 현존 판본은 현재 언해본 11종, 한문본 28종으로 총 39종이 현전하고 있다. 언해본과 한문본은 행자수를 기준으로 2계통을 형성하고 있고 전체의 6종을 제외한 33종이 『사법어』, 『초발심자경문』, 보제존자의 법어와 합철되어 존재하고 있어 몽산의 사상적 계승 내력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책은 15세기에서 17세기까지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간행되었는데 이는 『육도보설』의 간행경향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법어약록의 전래와 편성
  2.1 몽산법어의 존재문제
  2.2 사법어와의 관련문제
  2.3 법어약록의 편성내용
 3. 언해본 및 한문본의 유통
  3.1 언해본의 언해와 간행
  3.2 한문본의 재편과 간행
 4. 현전 판본의 서지적 분석
  4.1 간행시기 및 지역 분석
  4.2 간행 참여자 분석
 5. 결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진 Kim, Eun Jin. 중앙대학교 박사과정
  • 송일기 Song, Il Gie.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