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서지도에 대한 부모의 주관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ubjectivity Structure of Parents’ Book-Reading Guidances

정현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parents’ subjectivity structure shown with regard to their book-reading guidance. By depending upon Q methodology, it collected data from October 1 through October 9, 2015. The analyses showed 3 types of subjective structures. The first type of parents conducted active book-reading guidances while focusing on “empathy”,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This study named it as “the interaction type”. Parents of this type expected their children to learn thoughts, creativities,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course of their interactions. 31% of total respondents belonged to this type, and they used to recommend such genre books as ‘fictions’ and ‘creative works’ to their children. The second type of parents were passive with regard to their book-reading guidance even though they were concerned with kids’ reading activities as much as the first type. Parents of this type tended to focus on ‘purchasing books’, ‘building reading environment’, and others. 54% of total respondents belonged to this type, and they used to recommend such genre books as ‘histories’ and ‘hero’s memoirs’ to their children. The third type of parents were very restrictive. Sometimes they monitored a wide spectrum of reading activities. They kept their eyes on such activities as ‘book-list keeping’, ‘library using method’, ‘time management’, and others. 15% of total respondents belonged to this type. What made this type different from the other 2 types was that they did not recommend a certain genre of books.

한국어

본 연구는 부모가 자녀를 대상으로 자신들이 펼치는 독서지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살폈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2015년 10월 1일에서 2015년 10월 9까지 조사를 했다. 연구결과 3개의 독서지도에 관한 주관성 구조를 발견했다. 첫째, 제1유형은 자녀와의 ‘공감’, ‘참여’, ‘토론’에 주안점을 두면서 자녀의 독서지도를 적극적으로 수행했다. 본 연구자는 이 유형을 “상호작용형”이라고 명명했다. 이들은 자녀와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서 자녀가 독서를 통해서 지식을 습득하고 사고력, 창조력, 문제해결력을 높이기를 기대했다. 전체 응답자의 약 31% 포함되었으며, 주로 ‘소설’이나 ‘창작물’ 등을 독서지도 장르로 인식했다. 둘째, 제2유형은 자녀의 독서활동에 있어서 제1유형 못지않은 관심을 갖지만 독서지도에는 소극적이었다. 이들은 ‘책 사주기’, ‘독서 환경 만들기’ 등에 지도의 초점을 두었다. 특히 이 집단의 독서지도는 자녀의 독서습관형성에 주목했다.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약 54%에 해당하였으며 독서지도 장르는 주로 역사물, 위인물 등이었다. 셋째, 제3유형은 규제적이고 통제적인 독서지도 방식을 보유했다. 이들의 독서지도는 독서목록 작성, 도서관 이용방법, 시간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전체의 약 15%에 해당했으며, 이들의 독서지도는 특정 장르에 한정되지 않고 이루어졌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기존문헌 검토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1 Q 분석
  4.2 유형별 특성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현욱 Jung, Hyun Wook. 원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언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