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 前期 原從功臣錄券의 體制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Wonjong Gongsin Nokgwon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조선 전기 원종공신록권의 체제 연구

진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fferentiated the system of the ‘royal certificate granted to the secondary meritorious subjects by the king’ (Wonjong Gongsin Nokgwon, 原從功臣錄券)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to the heading, the main text, the closing,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ilation of the each part. The heading consists of; the title of the heading and the titles/names of the grantees. The main text in general consists of; the date of the King’s order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the meritorious subjects, the title/name of the person who received the King’s order on the installation, the statement of the King on the reason of the royal certificate grant, the titles/names of the meritorious subjects by class, the date of the receiving the King’s order for the enforcement of the award, the title/name of the person who received the King’s order on the award and the statement of the King on the award regulation and privileges of the meritorious subjects by class. The closing consists of; the name of the institution which enforced the grant and the title/family-names/full-nam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Some royal certificates have signatures. It has been confirmed by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the royal certificate systems were similar in general;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ent on the grant date or the institution which enforced the grant.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조선 전기에 발급된 공신녹권의 체제를 卷首․本文․卷末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고, 다시 각각을 세분하여 녹권의 편성 체제가 지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권수는 卷首題, 受給者의 직함과 성명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은 대체적으로 공신책봉에 관한 王命을 받은 날짜와 奉命者의 직함과 성명, 녹권의 반사사유를 기재한 왕의 傳旨, 등급별 공신의 직함과 성명, 포상의 시행에 관한 왕명을 받은 날짜 및 봉명자의 직함과 성명, 등급별 공신의 포상규정 및 특전을 명시한 왕의 전지로 구성되었다. 권말은 녹권의 頒賜를 주관한 기관의 명칭과 그 기관에 속한 구성원들의 직함과 성씨 또는 성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부 녹권에서는 手決이 있었다. 연구결과, 녹권의 체제는 대체로 동일하나 녹권의 발급시기 혹은 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緖論
 2. 朝鮮 前期에 發給된 原從功臣錄券 現況
 3. 錄券의 體制 分析
  3.1 卷首 分析
  3.2 本文 分析
  3.3 卷末 分析
 4. 記述 形式
  4.1 記述 方式
  4.2 削籍 部分
 5.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진나영 Jin, Na Young.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