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충남대 소장 『雷象觀集』에 대한 서지적 고찰

원문정보

A Bibliographical Study of Noesanggwanjip in the Chungnam University Library

충남대 소장 『뇌상관집』에 대한 서지적 고찰

김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troducing Noesanggwanjip(雷象觀集) in the Chungnam University Library, donated by Kim Young-han. Noesanggwanjip(雷象觀集) is an anthology written by Lee In-sang(李麟祥, 1710-1760). Anthologies of Lee In-sang exist in several versions including Neunghojip(凌壺集), which is the printed edition(刊本), Noesanggwanjip, which is the manuscript(筆寫本) owned by the Lee family from Hansan(韓山李氏家), and Noesanggwango(雷象觀藁), which is the manuscript handed down in author’s family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bibliography, I examined the system, included works and characteristics of Noesanggwanjip in the Chungnam University Library. This new text proved to be Vol. 4 of Noesanggwanjip owned by the Lee family from Hansan to be hitherto known to be lost. Therefore I tried to show the value of the new text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three already mentioned collections of Lee’s writings.

한국어

충남대 소장 『雷象觀集』은 일견 1책의 零本으로 이해되기 쉽지만 전국에 산재한 凌壺觀 文集과 비교하면 이것이 기존 연구에서 ‘韓山李氏家 舊藏本’으로 명명된 자료의 일부분임이 판명된다. 그간 逸失된 것으로 알려진 한산이씨가 구장본 제4책이 바로 충남대 소장 『뇌상관집』인 것이다. 본고를 통해 충남대 소장 『뇌상관집』의 존재 및 그 서지적 특징이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한산이씨가 구장본은 이제 落帙本이 아니라 完帙本으로 새롭게 명명되어야 한다. 이 점을 규명하면서 본고는 충남대 소장 『뇌상관집』의 발굴이 갖는 의미를 다각도로 조명하였다. 능호관 필사본 문집의 편찬주체, 편찬시기를 비롯해서 현존하는 능호관 문집 세 종의 상호관계에 대한 기존 논의를 객관적으로 재검하고자 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충남대 소장 『雷象觀集』의 체재와 특징
  2.1 형태서지와 수록내용
  2.2 편찬시기와 편찬주체
 3. ‘李麟祥 文集’ 異本과의 비교
  3.1 이인상 문집의 종류
  3.2 작품 출입의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수진 Kim, Su Jin.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