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자필 서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Unho Im Seong-ju’s Newly Discovered Handwritten Letter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studied the newly discovered handwritten letters of Nokmun(鹿門) Im Seongju(任聖周, 1711∼1788) by examining Nokmun Im Seongju’s life and academic history ; the contents of the letters he wrote to Doam Yi Jae, contained in Collected Works of Nokmun (Nokmunseonsaengmunjib) ; and the bibliography and content of the handwritten letters. Although Nokmun Im Seongju based his philosophy on Nakron(洛論) from the Yeongjo and Jeongjo era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developed his teacher Yi Jae(李縡)’s Simseongron of inmulsongdongron(人物性同論) to declare inmulsongiron(人物性異論) as claimed by Horon (湖論). He united and developed the theory of i (principle) and ki (energy) into the dualistic concept of i and ki, becoming known as one of the six great minds of Joseon’s neo-Confucianism. Volume 1 of Collected Works of Nokmun contains four letters. The letter from the thir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27) has the seventeen-year-old Nokmun requesting Doam Yi Jae to accept him as a pupil. The letter written on the six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30) contains questions for Doam Yi Jae from the twenty-year-old Nokmun, but was not sent. The letter from the thirteenth year of Yeongjo’s reign (1737), written to Doam when Nokmun was 27 years old, is extremely important in the field of Simron which deals with the virtues and vices of Mibalsimche(未發心體). In the letter from the twenty-first year of Yeongjo’s reign(1745), written in the fall of Nokmun Im Seongju’s 35th year, Nokmun asks for advice on his family’s ancestral rites. Im Seongju’s handwritten letters were not included in Collected Works of Nokmun, but were drafted by Nokmun in the sixteenth year of Yeongjo’s reign (1740) to give to his teacher Doam Yi Jae. The letters measure 61.4 × 38.2 cm in height and length, respectively. The writing in its entirety has 25 vertical lines, with a blank space of 3 horizontal lines on the top of the letter. There are a total of 475 characters and 17 stanzas of the imprint in the text. The characters ‘候’, ‘靜中體候’, ‘門下’, ‘函丈之間’, ‘登覽’, ‘下覽’ which are related to his teacher have a blank space as a mark of respect. The calligraphy in the epistles has its basis on Ahn Jin Kyung’s printed and semicursive style with an appropriate balance of brush strokes(筆勢) and character style(字勢), a powerful energy as well as eloquence, while the connecting forms(結體) have gravity and style and variation along with the dignity of a classical scholar. The writing can be divided into eight paragraphs by content development. Im Seongju asks after his teacher Doam Yi Jae, expresses his sadness that he was unable to visit his friend Daesim (son of Yi Yu)’s grave before the second memorial ceremony(大祥) as he had intended although two years have passed since Daesim’s death, and worries that he is unable to focus on his studies because of troubles and mourning in the family. He recalled his days studying under Doam Yi Jae while worrying that he was not progressing in his studies as he should ; resolved to live according to Emperor Shun’s ‘惟精惟一’ and the Confucius philosophy that the superior man makes the difficultly to be overcome his first interest ; ‘克己復禮’ ; and expressed his wish to study with a teacher who would keep him vigilant and urge him on. He worried that he could not see Doam often because they lived so far away, said that he planned to borrow a horse and visit his teacher in the summer because he needed guidance, and worried about when his teacher would receive his letter. This research will henceforward be used not only in the study of private records but also as the most basic study results in bibliograph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inguistics.

한국어

이 글은 새로 발견된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1788)의 자필 서간을 대상으로 녹문 임성주의 삶과 학문전승,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에 수록된 도암 이재에게 올린 서간 내용 및 자필 서간의 서지적․내용적 측면을 연구한 것이다. 녹문 임성주는 조선조 후기 영․정조시기에 낙론에 기반을 두면서도 스승인 이재(李縡)가 주장한 심성설인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호론이 주장하는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하였고, 이기설(理氣說)에 있어서는 이(理)와 기(氣)의 이원론적 관념을 기(氣)의 일원론적 관념으로 통일 발전시켜 조선조 성리학 육대가(六大家)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졌다. 『녹문선생문집』권1에는 4편의 서간이 실려 있다. 영조 3년(1727)의 서간은 녹문이 17세에 도암 이재에게 문하의 제자로 받아주기를 청하는 것이다. 영조 6년(1730)의 서간은 녹문이 20세 되던 해에 도암 이재에게 자신의 의문점을 물어보기 위해 쓴 것인데 실제로 보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조 13년(1737)의 서간은 녹문이 27세 되던 해에 도암에게 올린 것으로 미발심체(未發心體)의 선악을 다루는 심론의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영조 21년(1745)의 서간은 녹문 임성주가 35세 되던 그해 가을에 도암에게 올린 것으로 집안의 합제(合祭) 문제에 조언을 구하는 내용이다. 임성주의 자필 서간은 󰡔녹문선생문집󰡕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녹문이 영조 16년(1740) 여주에 있으면서 그의 스승인 도암 이재에게 올리려고 작성한 초안이다. 서간의 크기(세로 × 가로)는 61.4 × 38.2cm이다. 필첩 전체는 본문은 세로 25줄, 서간 위쪽 여백에 가로 3줄이다. 전체 글자 수는 본문 475자, 간기 부분이 17자이다. 스승과 관련된 글자인 ‘후(候)’, ‘정중체후(靜中體候)’, ‘문하(門下)’, ‘함장지간(函丈之間)’, ‘등람(登覽)’과 ‘하람(下覽)’ 등의 앞에는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공격(空格)을 두고 있다. 이 서간문 글씨체의 특징은 안진경의 해․행서에 바탕을 두고 필세(筆勢)와 자세(字勢)가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면서 강한 기운이 있으면서도 유창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결체(結體)는 근엄하면서도 풍격은 수려하지만 변칙의 멋스러움이 있으면서도 선비의 품격은 그대로 지니고 있다. 이 글은 내용의 전개상 8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임성주가 스승인 도암 이재의 안부를 여쭙고, 친구 대심(大心 ; 李維의 字)이 죽어서 2주기가 지났는데 대상이 지나기 전에 묘에 가기로 했는데 하지 못했음을 슬퍼하였으며, 집안에 우환과 상사 등이 많아 학문은 제대로 하지 못함을 걱정하였다. 도암 이재에게서 강송하던 시절을 생각하며 학문의 진도가 제대로 나아가지 못하여 우려를 하였고, 순(舜)임금의 ‘惟精惟一’과 공자의 ‘克己復禮’를 생활 속에 실천하려는 다짐을 하였으며, 경계와 채찍질 해줄 스승 곁에서 공부하기를 소망하였다. 임성주가 도암과 길이 멀어 자주 회합하지 못함을 걱정하였고, 스승에게 질정 받을 것이 많아 여름에 말을 빌려 뵈올 계획이며 붙인 글은 어느 때나 받게 될지 우려한 내용이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녹문 임성주의 삶과 학문전승
 3.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에 수록된 도암 이재에게 올린서간의 내용
 4. 자필 서간문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 Ae.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