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증도가자 기초학술조사 연구 성과

원문정보

The Results of a Study on Academic Bases of Zeungdogaja

남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laced an order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2014, and summarizes main results of ‘A study on academic bases of Zeungdogaja’ conducted by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Kyungpook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hape of the print type tends to correspond to that of Laws and Treatises and Saganbon in 12th to 13th century. Secondly, we analyzed 20 privately owned print types out of the target print types using radiocarbon dating technique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11 print types, production period of China ink found and the period of its use correspond to prior to 12th century. Thirdly, nondestructive analysis of the metal surface shows some deviations derived from the surface contamination of the target print type and the state of being covered with soil. However, we could identify the data confirmed by “㠅” Metal Type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similar data opened by the prior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2014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용역을 발주하고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증도가자 기초학술조사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체분석에 있어서 활자의 자형은 12-13세기의 대장경과 사간본의 서체들과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둘째, 조사 대상활자 가운데 개인소장의 활자 20개를 선정하여 활자의 표면에 잔류된 먹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활자에서 먹의 제조 및 사용연대가 12세기 이전의 시기에 분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금속표면에 대한 비파괴분석은 분석대상활자 표면의 오염 및 흙으로 덮어진 상태인 점을 감안할 때 서로 편차가 많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㠅’활자에서 확인되었던 데이터와 선행연구에서 공개된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발견과 연구 경과
 3. 인본 조사
 4. 서체분석
 5. 과학적 분석
 6. 주조 및 조판
 7.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남권희 Nam, Kwon Hee.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