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That Motives To Use Lifelong Education Has On The Brand Valu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iewing the empirical effects the motives to use lifelong education have on the brand valu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indicate that the informative motive and the motive to confirm a sense of self-efficacy, the entertaining motives and the motive to confirm self-resilience, and the social motive and the motive to confirm self-esteem ar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informative motive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the educator and content components. The entertaining motive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the fun and facilities components. The social motive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the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components of the brand value of lifelong education. The motive to confirm a sense of self-efficacy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the educator and administration components. The motive to confirm self-resilience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the content and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the motive to confirm self-esteem has a relatively higher effect on the content and administration components. The finding shows that the users of lifelong education have diverse motives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diverse motives drive different value expectations to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Eventually, these diverse value expectations affect the evaluation on the brand valu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On this point, it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consider planning and conducting programs satisfying their users’ value expectations, building and maintaining a utilizing environment, and monitoring feedback from interaction with their users.
한국어
본 연구는 평생교육 이용 동기가 평생교육기관의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정량적 연구 결과, 평생 교육에 대한 정보적 동기는 자아 효능감 인식·확인 동기와, 오락적 동기는 자아 탄력성 인식·확인 동기와, 사회적 동기는 자아 존중감 인식·확인 동기와 각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적 동기는 평생교육기관 브랜드 가치 구성 요소 중 교수자와 콘텐츠 요소에, 오락적 동기는 재미와 시설 요소에, 사회적 동기는 평가와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효능감 인식·확인 동기는 평생교육기관 브랜드 가치 구성 요소 중 교수자와 행정 요소에, 자아 탄력성 인식·확인 동기는 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자아 존중감 인식·확인 동기는 콘텐츠와 행정 요소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평생교육 이용자가 평생교육에 대해 다양한 동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동기는 궁극적으로 평생교육 기관의 브랜드 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바, 평생교육기관 입장에서 이용자 기대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 이용 환경 구축 및 유지, 그리고 이용자의 상호작용적 피드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평생교육의 배경
2.2. 평생교육 이용 동기
3. 연구 방법
3.1. 연구 문제
3.2. 연구 구조
3.3. 조사 방법 및 내용
3.4. 측정 척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