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별 경관계획 현황과 농촌마을 및 건축물의 색채관리대상요소 도출

원문정보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Present Condition and Color Elements in Rural Villages and Houses

김은자, 권순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 which began with Saemaeul Movement as its starting point has changed color landscap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ignificantly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general town development project being promoted to maintain living environment in farming area has raised agritourism as a new income source focusing more on profit businesses rather than improving dwelling environment in it. As the value of scenery in farming area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city is newly highlighted, laws related with preserving and maintaining agricultural landscape is institutionalized. Agricultural society is being transformed with regard to the increase of aged population, increase of those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area, or strengthening of functions in the agricultural settlement zone. There is more and more nationwide demand on improving agricultural dwelling environment in a safer and more eco-friendly way. Primary colors from artificial landscape factors in farming area or the exterior of structures with no identity is the hindrance factor that makes the residents or visitors feel stressful.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environment in farming area by figuring out the problems of colors in it and so on. Landscape plans of various regions are set up focusing on urban, rather than rural, areas. Many previous studies were also conducted on urban environment. Further, studies on rural landscape were conducted with various color element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color directions in regional landscape plans. It will derive color management elements for color landscape of rural villages, by analyzing color elements covered in recent studies, through previous studies.

한국어

인구 고령화 심화, 귀농·귀촌인 증대, 농촌정주생활권의 기능 강화 등에 대한 농촌 사회 변화하고 있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농촌지역 거주환경 개선에 대한 범국민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농어촌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 속에서 보다 지역 특성에 맞는 경관계획과 공공디자인을 결합한 통합적인 농촌마을 거주환경 개선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농촌마을의 인공경관요소의 원색계열 색채와 정체성 없는 건축물 외관이 주민 및 내방객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저해요인이다. 이와 같이 농촌마을 색채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등 농촌마을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최근 진행된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색채대상요소를 분석한다. 특별광역시와 도, 군에서 계획하고 있는 색채 방향을 농어촌 경관계획 수립요령과 분석하여 앞으로의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연구 방향을 찾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고찰
 2. 지역별 색채 계획방향 분석
  2.1 특광역시, 자치도
  2.2 경기도
  2.3 강원도
  2.4 충청도
  2.5 전라도
  2.6 경상도
  2.7 농어촌 경관계획 수립요령
 3. 농촌마을 색채관리대상요소
  3.1 자연환경요소
  3.2 인공환경요소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자 Kim Eun Ja.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 권순찬 Kwon Soon Chan.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박사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