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한영숙류 승무의 당악과장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Dangak Movements of the Buddhist Dance in Han Yeongsuk’s Style

김경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Seungmu(Buddhist dance) in Han Yeongsuk’s style by analyzing musical and choreographic characteristics of its Dangak movements, which distinguish itself from other styles of the Seungmu, in the light of exhilaration consisting of the basis of Korean culture. By this study, it is achieved to firm the identity of Seungmu in Han Yeongsuk’s style and determine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Dangak is the movement that four of very fast three counts consist of one beat, played when a shaman has a dancing ritual for a spirit to possess the shaman in Seoul and Gyeonggi area. Dangak rooted in this shaman music is conservative in that the shaman music is the music for a spirit but at the same time also open and dynamic because it is professional music for audience in performance field. Dangak movements which accompaniment is based on such dynamic shaman music is most likely to bring exhilaration and amusement out by various melodies of performer’s impromptu playing and repetition of rhythm with fast speed and a number of beats. Secondly, in the dance of Dangak, the performance starts primarily with the dance spreading, winding, laying or turning Jangsam(the robe of Buddhist monk) or throwing it over the shoulder. Then performer takes the drumstick out of the robe and beats a drum, holding back the sleeve and dancing each motion with robe and drum harmonized. This can be said a master of dance mingling Jangsam and drum with beauty of balance, which has been developed further from the prior form of dancing that was with only Jangsam or onlydrum beating. As accompanied with such world of Dangak dance, dynamic of Dangak accompaniment with fast speed accelerates the elevating energy generated from the harmony of drum and Jangsam, creating aesthetic performance to sinmyeong(exhilarate). Moreover, it has no diagonal motion but makes the repetitive motions balancing at center, such as moving from center to the front or from the front to the back, so that it has satisfied the requirement to maximize strong and active energy. In other words, various dancing motions balancing at center including stepping forward and backward, turning and taking steps back are fitted with fast rhythm, lifting up the atmosphere of exhilaration gradually. Thirdly, considering Dangak movement of Seungmu in Han Yeongsuk’s style has been evolved into Dangak dance with drum beating and the motions using Jangsam harmonized, it deserves the significance for its unique identity. Furthermore, it is a representative dance as one of the best Korean traditional dances since it has embodied an aesthetic structure arousing exhilaration, the root of Korean culture, with its own composition elevating from slow rhythm of the monotonous rule in traditional music to fast one.

한국어

본 연구는 한영숙류 승무가 다른 류의 승무와 분별되게 하는 당악과장의 특성 요소가 무엇인지 우리문화의 근저를 이루고 있는 신명의 관점에서 음악적 측면, 춤적 측면의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영숙류 승무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한국 전통춤에서 갖는 의의를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악은 매우 빠른 3분박 넷이 모여 한 장단을 이루는 악장으로 서울 경기지방의 굿에서 무당이 신이 내리는 춤을 출 때 연주된다. 이러한 무악에서 나오는 당악은 무악이 신을 위한 음악이라는 점에서 보수성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굿판의 청중을 위한 전문음악인 집단의 음악이기 때문에 개방적이고 역동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한 역동적인 굿음악이 춤반주인 당악과장에서는 빠른 속도와 많은 장단수가 이루어 내는 리듬의 반복, 연주자의 즉흥적 선율의 다양한 가락이라는 음악적 요소로 인하여 흥과 신바람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신명나는 판이 되는 특성이 있었다. 둘째, 당악춤은 그 춤사위에 있어서 매우 긴 소매의 장삼을 뿌리고 감고, 얹고, 엎고, 제치고 등의 장삼위주의 춤에서 장삼 속에 있던 북채를 빼서 북울림을 하고 난 뒤 장삼을 거두어 잡고 장삼과 북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춤사위가 된다. 이는 당악과장 이전까지의 장삼위주의 춤사위와 북울림 위주의 춤사위에서 한 차원 더 나아가 장삼과 북이 조화롭게 융합된 춤의 경지를 펼쳐낸다고 하겠다. 이러한 당악춤의 춤사위의 세계는 빠른 속도의 당악 반주의 역동성이 더해지며 북과 장삼의 조화로 빚어내는 상승의 기운이 절정으로 올라갈 수 있는 미적 구조가 연출되어 신명나는 판이 되고 있었다. 또한 당악과장에서는 대각선으로의 춤길이 없고 중앙 뒤에서 앞으로, 앞에서 뒤로의 중앙 중심의 춤길이 반복되어 강하고 적극적인 에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요건을 이루고 있었다. 즉 앞으로 나오고 들어가고, 돌고, 물러나는 등의 다양한 춤사위가 중앙 중심의 춤길과 빠른 속도의 장단이 맞아 떨어지면서 신명의 분위기가 점층적으로 고양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한영숙류 승무의 당악과장은 북울림과 장삼춤이 융합된 당악춤으로 승화되고 있음을 볼 때, 한영숙류 승무만이 담보해야 할 정체성의 내용으로 그 의미가 있다. 이는 전통음악의 일률적인 질서인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나아가는 구성 원리 안에서 우리문화의 원형인 신명을 관객과 함께 풀어내는 미적 구조를 담보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춤의 백미로서 가장 대표되는 춤이라는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당악과장의 미적 특성
 Ⅲ. 당악과장에 나타난 신명의 미적 구조
  1. 음악
  2. 당악춤
  3.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숙 Kim, Kyungsook.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