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문화예술교육 무용교육자의 전문성 요소로서 무용소양(Dance Literacy) 함양과정 탐색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Literacy as an Essential Element of Dance Educators’ Professionalism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홍애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dance literacy and its components along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d educational method for the dance literacy using qualitative methods. Six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were selected using typical case selection (Miles & Huberman, 1994) and theoretical sampling (Strauss & Corbin, 1998).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dance literacy (DL) is the accumulation of the knowledge and competences of understanding dancing and doing it, and the components of DL are dance knowledge and recognition skill (DL for practice), humanity knowledge and inquiry skill (DL for theory), and practical knowledge and conductive skill (DL for integration). Seco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DL is categorized into implicit learning stage, selective perception stage, and spontaneous learning stage. Third, the development methods of DL are dance practice, research on dance theory, and learning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be helpful to promote the dance educators’ professionalism, make qualitative changes on dance education, and foster professional dance specialist.

한국어

본 연구는 무용교육자가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을 가르치기 위한 전문성 요소로서 무용소양의 개념 및 요소, 함양 과정, 함양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질적 연구로서 전형적 사례선택 기법(Miles & Huberman, 1994)과 이론적 표본 추출(Strauss & Corbin, 1998)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무용교육자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 연구 및 교육기술지연구에서 활용하는 전사, 코딩, 범주화, 분석의 절차에 따랐으며,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의 성찰, 삼각검증법,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했다. 연구결과 첫째, 무용소양의 개념은 ‘무용 자체가 지닌 속성을 논리적, 분석적으로 인식하는 지식과 인지능력, 무용을하는 데에 관여되는 무용 및 타 분야의 지식과 탐구능력, 이러한 지식과 능력을 상황에 따라 조절하고통제하며 당면한 과제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융합능력의 총체’이며, 무용소양의 요소는 무용지(舞踊知)와 인지능(認知能)(무용실기소양, 舞踊實技素養), 인문지(人文知)와탐구능(探究能)(무용이론소양, 舞踊理論素養), 실천지(實踐知)와 융합능(融合能)(무용통합소양, 舞踊統 合素養)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무용소양의 함양 과정은 무용소양의 암묵적 학습 단계, 선택적 지각 단계, 자발적 학습 단계로 구분되었다. 셋째, 무용소양의 함양 방법은 무용실기 연습, 무용이론 연구, 공동체 학습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교육자의 전문성 발달, 무용교육의 질적 향상 및체계화, 무용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및 해석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무용소양의 개념 및 요소
  2. 무용소양의 함양 과정
  3. 바람직한 무용소양의 함양 방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애령 Hong, Aeryung.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