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Dance Graduates
초록
영어
To investigate dance graduates current state of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for the foregoing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elected 108 graduates who graduated department of dance within three years as subjects of study. After establishing two study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total 22 questions. This study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program to analyze all data collected,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54% of graduates are getting job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including dancers and choreographers as types of employees, and their monthly average income ranged from more than 1 million to less than 2 million. And responses that development of ability in the field of major is the most important for employment and prepared more than three years were the highest. As for the route of employment, about 59% were receiving help from introduction of acquaintances. Second,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on job satisfaction show that occupational profession was the highest amongst job satisfaction, and human relations, social appreciation and support and satisfaction of economic income followed in order. An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four constituting concepts and each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무용과 졸업생의 현재 취업상태와 취업을 위한 준비과정, 그리고 직업만족도를 조사하기위하여, 졸업 후 3년 이내의 무용과 졸업생 10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5개 대학과 국, 공립 무용단을 방문하여 표집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두 가지 연구문제를설정하였고, 총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 취업상태와 준비과정, 직업만족도로 구성되었다. 모든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생의 약 54%는 무용수와 안무가를 포함한 공연 분야에 취업하고 있었고, 피 고용직의형태, 그리고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을위해 전공분야의 능력 계발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취업 준비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취업 경로는 교수, 선배, 가족 등 지인의 소개에 의한다는 응답자가 약 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 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직업 만족도 중 직무전문성이 가장 높았으며, 뒤를 이어 인간관계, 사회적 평가와 지지었으며, 경제적 소득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만족도의 4개의 구성개념과 각각의 하위요인에서 높은 상관관계와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취업 상태와 준비과정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2. 직업 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3. 직업 만족도의 상관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