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조선시대 문집에 묘사된 소매춤[袖舞]의 문학적 형상화

원문정보

An Exploration on Literary Figuration and Style of Sleeve Dance (袖舞) Described in Literature Collections of Joseon Dynasty

김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tracted the literary figuration of the Sleeve Dance (袖舞) from the literature collections of Joseon Dynasty, and explored its meaning and style. As a result, the study extracted not only ‘Jangsu (長袖)’ and ‘Chuisu (翠袖)’ with connotative meanings, but also ‘Bun (飜: Bunyeon 飜然: Yeombun 艶飜)’ and ‘Pyeonpyeon (翩翩)’ the specific descriptions for fluttering sleeves, and ‘Pasa (婆娑)’ the description for non-conventional dance. After exploring the meanings of their origins and exemplary standards, the study emphasized that ‘Jangsu’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shape of a long sleeve but also a gorgeous sleeve dance of a beautiful dancer, and ‘Chuisu’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color of a green sleeve but also an excellent sleeve dance of a pitiable dancer.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Bun’ was a general description for a fluttering sleeve, ‘Bunyeon’ was a description for a sleeve fluttering high enough to touch the sky and changing very quickly, ‘Yeombun’ was a complex description for the combination of a beautiful dancer and beautiful sleeve, ‘Pyeonpyeon’ was a description for a very thin and light silk sleeve fluttering like a butterfly, and ‘Pasa’ was a description for a sleeve movement which was more rough and non-conventional than an ordinary sleeve dance which generally moved light and swift. Those descriptions were confirmed to be based on the standards from the Classic of Poetry (詩經) and Tang Poetry (唐詩), and these phenomenons were confirmed to be the part of Classicism (擬古主義).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bring ‘Sumu’ in the center of discuss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집에서 소매춤[袖舞]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추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그 결과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장수(長袖)’와 ‘취수(翠袖)’, 그리고 소맷자락의 날림을 표현한‘번(飜; 飜然; 艶飜)’․‘편편(翩翩)’․파사(婆娑)’ 등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연원과 전범(典 範)의 의미들을 살펴 ‘장수’는 긴 소매라는 글자의 해석에 그칠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무희의 멋진 소매춤으로, ‘취수’는 비취빛 소매만이 아니라 처지가 가엾은 무희와 절묘한 소매춤의 의미까지 읽어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소맷자락이 날리는 것을 일반적으로 묘사한 ‘번’ 외에 ‘번연’은 소맷자락이 하늘에 닿을 듯 높이 날리는데 그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염번’은 아리따운무용수와 아름다운 소매춤의 의미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는 언어라는 것, 그리고 ‘편편’은 가볍고 우아하며 고요한 소맷자락의 날림을 표현한 것이며, ‘파사’는 흥에 겨워 자유롭게 움직이는 정형화되지 않은소매 움직임을 묘사한 언어로 쓰였다는 것을 밝혔다. 한편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시경(詩經)󰡕과 당시(唐詩)를 전범으로 하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현상은 의고주의(擬古主義)의 일면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처음으로 ‘수무(袖舞)’를 논의의 중심에 놓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 목적과 필요성
 Ⅱ. 소매춤의 역사적 전개
 Ⅲ. 소매춤의 문학적 형상화
  1. 장수(長袖)ㆍ취수(翠袖)
  2. 번(飜)ㆍ편편(翩翩)ㆍ파사(婆娑)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영 Kim, Miyoung. 서울대학교 박사후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