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20세기 예술사조와 춤 현상

<헤로디아드>에 관한 미학적 고찰 : 니체의 여성적 진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esthetic Perspectives on the Herodiade : Primary perspective on feminine truth by Nietzsche

장정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rehend the aesthetic elements of Herodiade performed the premiere in 1944. For this study the piece’s content was apprehended from texts, the written source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e internal aesthetics and formal aesthetics explored from technique, movement skill and expressivity. As another aesthetic perspectives this study approaches to the choreographer, Martha Graham with a viewpoints of Nietzsche, feminine truth. The piece, Herodiade deals with the method of representational expression. The breathing as movement principle is found as an aesthetic element identifying the substantial life. The technique based on breathing accepts the emotional tension and senses, broadens the movement areas, and identifies the dance’s internal life in its expressiveness. The bird-formed sculpture stands for the ‘internal bird in mind’. This bird also stand for psychological tension of woman, in later part of the piece a dancer drift apart from it. Graham express herself the rebuilt life-world, solve out the psychological tension experienced in reality, by interacting with the significant bird-formed sculpture, and with another dancer’s role of nanny. In choreographer’s stance, the aesthetic of Herodiade is considered as an expressiveness, femininity, bodily experience and entranced phenomenon. The piece enable the lived experience of the grace, the unity of art and life. The contents of the piece stimulate to find out the meaning and aesthetic value from the loss of authority and power, individual emotion, entrance, and extreme world of sensitivity. The piece deals with the bodily experience of feminine world, implies the aesthetic element of the grace in aspects of recognition of greatness. It enable to meet a woman and her image of waiting the unexpected, wandering, as one aspect of human beings. The femininity conceived by Nietzsche is described as reinstate from masculinity. The woman for Nietzsche is considered positive, artistic, self controled. Nietzsche’s truthful viewpoints suggests a view of feminine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of body and the ear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n the rediscovery of femininity and its meaning.

한국어

본 연구는 그레이엄(Martha Graham)의 1944년 초연 작품 <헤로디아드>(Herodiade)의 미학적 요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자료를 활용하여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 밖에 테크닉, 동작기술, 표현방법 등에서 미학적 요소들을 고찰하여 내용미와 형식미를 제시하였다. 또 다른 미학적 측면으로서, 무용을 통해 창조적 자기극복을 실천한 그레이엄의 미적 체험에 관해서 니체의 여성적 진리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헤로디아드>는 텍스트자료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된 이야기를 내용으로 전달하는 구상적 표현형식을 갖추고 있다. 동작원리로서의 호흡에는 유기적 리듬에 따라 생명과 삶을 확인시키는 미적 요소가발견된다. 호흡에 기본을 둔 테크닉은 정서적 긴장과 감각을 받아들여 동작범위를 넓혀주며, 무용의내적 생명의 표현성을 관객에게 인식시킨다. 무대세트로 놓인 새 형상의 도구는 ‘마음속의 새’를 상징한다. 새장은 여성의 심리적 억압을 상징하고, 작품 후반에 헤로디아드는 그것으로부터 자유롭게 멀어진다. 그레이엄 스스로가 생명의 세계를 재구축하여 현실적으로 겪고 있는 심리적 긴장감을 해결해 나간다는 의미를 새를 통해 표현한 것이다. 안무자의 입장에서 볼 때 <헤로디아드>의 미학은 몸과 마음의내면적 반응에 따른 표현성, 여성과 몸의 가치발견, 그리고 도취현상 등으로 표출된다. 삶을 곧 예술로보면서 삶과 예술과의 관련성 속에서 삶의 숭고함을 발견한다. <헤로디아드>의 내용은 여성의 권위와 힘의 상실, 개인적 정서, 열정, 도취, 극한 감성의 세계에 대한의미와 가치를 찾게 한다. ‘헤로디아드’라는 인물의 삶과 불가분한 관련성을 통해 얻어지는 여성의 체험적 세계를 다룬 것이다. ‘헤로디아드’를 통해 자기극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위대성을 인식시킨다는 측면에서 이 작품은 숭고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엇인가를 기다리고 끊임없이 방황하는 여인의이미지를 인간의 한 측면으로서 발견하도록 한 것이다. 그레이엄이 다룬 <헤로디아드>의 여성성은 남성의 타자로 밀려난 여성의 복권을 위한 것임을 확인시킨다. 니체에 있어서 여성은 긍정적, 예술가적, 디오니소스적 힘을 지닌 긍정적인 여성으로서의 삶을 사랑하고, 자기를 극복해 가는 인식적 대상이라할 수 있다. 여성에 대한 니체의 진리적 관점은 대지와 몸, 그리고 관계를 통해, 여성성의 세계관을제시하도록 한다. <헤로디아드>를 통한 여성적 진리의 체험은 <헤로디아드> 작품의 미학을 위해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헤로디아드>는 시대의 변천과 무관하게 영원한 예술적 진리와 감동을 주는 인간 중에서 한 여성을발견하게 한다. 니체의 여성적 진리관에 비추어 여성성의 진정한 의미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헤로디아드>(1944)의 작품형성
  1. 작품배경과 내용
  2. 형식과 무대예술
 III. <헤로디아드>의 미학
  1. 내용미와 형식미
  2. 여성적 진리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정윤 Chang, Chungyoon. 동아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