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협동조합의 현황과 법적 과제

원문정보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Cooperatives and legal issues

박광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al cooperatives in various area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governs a social cooperative in Korea, and this act is a product of a private and public cooperation. However, some discussions on issues of legal system and structure related to a social cooperative under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are still pending. Such discussions on the issues mentioned above take place because there is an unclear distinction between a social cooperative and a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cooperative” is unfamiliar term to the public. In addition, such unclear distinction is also evident in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Furthermore, to operate a social cooperative in practice, there should be an efficient system that allows an association to transform into a social cooperative if the association chooses to. Of course, various opinions against the system may be raised. However, considering the public interest on a social cooperative, gradual increase of its scope is necessary. True nature of a social cooperative is private. However, in Korea,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was enacted as a result of private and public cooperation.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an authority to intervene social cooperatives, it allows social cooperatives to establish their own bylaws, and to manage under such bylaws independently from the government. This shows that independent management of a social cooperative is, to some extent, guaranteed. However, when a basic system for a social cooperative is established in the future, government led regulations on social cooperatives should be eased. Furthermore, more legislative analyses are necessary to promote efficien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 social cooperative.

한국어

우리나라의 사회적 협동조합은 다양한 방면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법적 근거는 「협동조합기본법」인데, 「협동조합기본법」은 민관협력에 의해 이루어진 법률이다. 다만 「협동조합기본법」에서 사회적 협동조합과 관련하여 법체계적인 문제나 법제도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적 협동조합이라는 아직은 익숙하지 않고 사회적 기업 등과 같은 비슷한 구조를 가진 제도와의 구별 문제 등이 아직 선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불분명성은 「협동조합기본법」상의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구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의 실질적 운영을 위해서는 종전의 단체 중 사회적 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을 도모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효율적인 제도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물론 이에 대해서도 다양한 입장이 있을 수 있으나, 사회적 협동조합의 공익적 성격을 고려한다면 그 적용범위를 점차적으로 확대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민간주도의 자주적 조직체로서의 성격이 본래적 성질이기는 하나, 우리나라의 경우에 민관협력에 의해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게 되었다는 측면과 사회적 협동조합의 초기적 진흥책으로서 어느 정도의 정부주도의 규제 중심의 규정을 둔 것이기는 하나, 운영에 있어서 많은 부분에 정관으로서 규정하게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민간주도의 자주적 운영을 보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향후에 어느 정도 사회적 협동조합이 기틀을 마련하고 촉진이 된다면 정부주도의 규제 중심적 규정은 점차적으로 더 폭넓게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밖에도 사회적 협동조합의 설립이 촉진되고, 운영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될 수 있는 다양한 입법적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사회적 협동조합의 현황
 Ⅲ. 사회적 협동조합의 주요 내용
 Ⅳ. 법적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광동 Park Kwangdong.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강남대학교 겸임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