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문학

강상중의 디아스포라 의식과 글쓰기

원문정보

Diaspora consciousness of Kang, Sang-jung and his writing

정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d the diaspora consciousness and life, social practice of Kang Sang-jung who is intellectuals and Korean Japanese in Japan. He has been actively intervening in Japanese society as the 'Insider' not stay as outsiders. He is also criticizing nationalism and identity, has emphasized pluralism, diversity, otherness and Korean network in Northeast Asia. His postmodern thought is to show various representations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Korean Japanese that is out of a sense of 'suffering and discrimination, resentment and victim consciousness' Kang Sang-jung's writings show pro-Japanese and colonial opportunism through his uncle who was colonial elite, Japan military police as well as victim through his experience. Kang Sang-jung didn't have a identity as Korean Japanese because he was grown in Kumamoto. He got the consciousness of Janichi when he went to Waseda University. He had thinking Korean Japanese as the past something like exorcism of his mother and nostalgia of uncle Iwamoto(Lee Sang-soo). After visiting Korea in 1972, he changed his Japanese name of 'Nagano decheuoh' as Korean name 'Kang Sng-jung'. He also has worked in activity for Korean Japanese as a nationalist. However, after studying in Germany, Kang Sang-jung goes practiced in the 'Japan' more universal dimensions and horizons of consciousness. In many books he emphasized the postmodern philosophy of 'otherness', 'hybridity' and 'diversity' that could accept Korean Japanese. I think that Kang Sang-jung's postmodern discourse is positive in these days, but It can ignore the reality of the existing hostile and discrimination. Also the emphasis of 'select', 'considering' and 'mind' may be happening turning the discriminatory reality 'personal level' and those don't have to do with Korean Japanese who can not chose and deviate from suffering.

한국어

본고는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이자 재일 한국인 2세 강상중의 디아스포라 의식과 삶, 사회 실천 담론을 살펴보았다. 강상중은 여타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들과 달리, ‘재일’임을 표방하지만 아웃사이더로서 머물지 않고 ‘인사이더’로서 일본 사회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발언해왔다. 또한 그는 ‘재일’이라는 이중성, 경계성, 분열성을 바탕으로 동일성의 내셔널리즘과 ‘자아’를 비판하고 타자성, 복수성, 다원성, 동북아시아의 연대와 코리언 네트워크를 강조해왔다. 이러한 그의 탈근대적 의식은 이전까지 소수자의 ‘고통과 차별, 원한과 피해자 의식’으로 인식되었던 재일감각의 표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일 감각의 편차와 동시대성을 보여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강상중은 자신의 체험을 통해 피해자로서의 ‘재일’ 뿐 아니라, 일본헌병이었던 숙부를 통해 기회주의자인 친일 식민지 엘리트, 한국전쟁 특수로 인해 ‘부’를 획득한 재일 한국인 등의 재일의 편차를 보여준다. 구마모토에서 자란 강상중은 ‘재일’을 거의 의식하지 못하다가 와세다 대학 이후 이를 적극적으로 사유한다. 강상중은 ‘재일’을 자신과 무관한 ‘타자성’으로 거부감을 가졌는데, 일본에서의 피차별자의 ‘현실’이라기보다는 어머니의 ‘굿’, 이와모토(이상수) 아저씨의 향수와 실향민 의식 등의 과거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강상중은 72년 한국방문을 계기로 ‘나가노 데츠오’라는 이름을 ‘강상중’으로 바꾸고 ‘한국문화연구회’에 가입, 학생운동을 하는 등 민족주의자로 변신한다. 그러나 독일 유학 이후, 강상중은 ‘재일’의식을 좀더 보편적인 차원과 지평에서 실천해간다. 많은 저서를 통해 강상중은 ‘타자성’ ‘혼종성’ ‘이질성’ ‘다원성’의 탈근대적 이념을 ‘재일 한국인’의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 수용할 수 있는 인식적 계기로, 동시에 세계화 시대에 들어선 일본 사회에 보편적 이념이 되어야 한다고 호소한다. ‘헤테로토피아아, 경계성의 주체’ 등이 학술적 차원에서 그가 강조하는 가치라면, ‘고민하는 힘’ ‘자아’ 집착에 대한 경고, ‘마음’의 강조, ‘화해와 공존’ 등은 대중적 인문서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이다. 강상중의 이러한 탈근대적 담론은 고통받는 재일의 특수성을 넘어 다양한 편차와 일본사회의 보편성과 이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현존하는 ‘적대’와 ‘차별’의 현실을 외면한 ‘지적인 유희’가 될 수 있다. 또한 ‘고민’과 ‘선택’, ‘마음’은 차별적 현실을 ‘개인적 차원’으로 돌리는 일이 될 수 있으며, 선택할 수 없는 처지에 놓은 이들의 고통을 외면하는 허구적, 초월적 이념이 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재일’ 감각의 편차
 3. 포스트모던 자이니치의 분열과 화해
 4. 마음의 레짐-초월론적 고향 상실의 경험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은경 Jeong, eung-kyeong. 원광대 문예창작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