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nvestigational Study on Health-Related Mobile Application Software and Its Improvement
초록
영어
With the technical progress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impacts of mobile ecosystem and application software on our daily life and healthcare service recently is one of the most focused business line that has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The mobile applications related to healthcare service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a global market with the very wide range of its utilization such as supplying medical information, scheduling exercise plan, managing dietary control, and so on. With these consumer needs, Korean Government and domestic IT enterprises launched various kinds of mobile applications. In case of the domestic mobile contents market, it was difficult to find well-organize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health - related mobile applications, and there had been no report related to the categorization of those applications with an appropriate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problem through the recent situation of health and medical-related mobile applications. Furthermore,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were suggested. As shown by current results, It might be strongly required that applications related to healthcare should be categorized into systematical ways.
한국어
현대사회가 모바일 혁명이라 일컫는 사회 전반적인 발전과 변화를 겪으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와 IT기업들은 다양한 분야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분야에 대한 관 심이 집중되고 있다. 의료분야의 애플리케이션은 운동, 식습관, 안전 등의 분야로 범위가 점차 넓어지며 그 비중 또 한 커지고 있지만 대부분 한정된 주제로 중복 개발되는 추세이다. 또한, 현재 국내 모바일 콘텐츠 산업에서 의료 및 보건분야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명명하고 분류한 선례를 찾을 수 없는 실정이어서 정확한 구분이나 카테고리의 확 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정의와 분류체계를 제안하였으며 현황조사 를 통한 건강 관련 앱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개선 방안을 이끌고자 하였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정의
2.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중요성
3.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국내외 개발 현황
4. 정부 주도로 개발한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 현황
5.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 분류체계”의 대한 제안
6.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 분석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