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국가입법과 자치입법의 제도적 갈등문제와 해결방안

원문정보

Institutional Conflicts between National Legislation and Municipal Legislation and Solutions therefor

최환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elerated decentralization has broadened the domain of municipal legislative power. The expansion of the domain of municipal legislative power inevitably causes a phenomenon of overlapping or conflicting with the domain of national legislative power. Particularly in a centralized state that strongly favors the preemption of national legislative power, the expansion of a local autonomy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as one of its essential elements, would be confronted with a critical situation, which demands the assurance of uniformity in national law and order. As the domain of municipal legislative power is gradually expanded as a consequence of the implementation of decentralization, national legislation and local legislation might look like momentarily conflicting. Nevertheless, it is a well-known fact that local autonomy today can perform its functions only within the bounds of national law and order under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Although local governments have legal personality independent of the state, nationals and residents, who are consumers of legislation, make an appearance in an identical shape. Therefore, national legislation and municipal legislation must function reciprocally, and conflicts between them must be settled on the basis of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at guarantees people's fundamental rights.

한국어

지방분권이 가속화되면서 자치입법권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치입법권의 영역 확대는 필연적으로 국가입법권과의 영역과 중복 되거나 충돌되는 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국가입법권의 선점화 경향이 강한 중앙집권적 국가에 있어서 다양성을 본질적 요소로 하는 지방자치제도의 확대실시는 국법질서의 통일성 보장이라는 한계상황에 놓이게 된다. 지방분권이 추진됨에 따라 자치입법권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이에 따라 국가입법과 자치입법이 일시적으로 갈등관계에 놓여 있는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지방자치는 법치주의 원칙에 따라 국법질서내에서 기능할 수밖에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와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다 해도, 지역적 관할 범위를 제외하고, 입법수요자인 국민과 주민은 결국 하나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된다. 따라서 국가입법과 자치입법은 상호 보충적으로 기능 해야 할 것이며, 충돌된다 하더라도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헌법정신 아래 조정되어야 한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자치입법권의 의의와 한계
 Ⅲ. 국가입법과 자치입법간 갈등유형
 Ⅳ. 국가입법과 자치입법의 갈등해소방안
 Ⅴ. 맺으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환용 Choi, Hwan-Yong. 한국법제연구원 행정법제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