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사법경찰관의 고소장 반려처분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경찰청범죄수사규칙 제42조 제1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jected the complaint disposition of the judicial police officer A Critical Study

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ticle 223 of the Criminal Procedure regulates that 'victims of crime can sue.’ In addition, the Article 238 of the same law regulates that the ‘juridical police officer shall forward the relative documents and evidences after the quick investigation in the event of a complaint or accusation.’ In other words, when receiving the judicial police officer receives a complaint, he has neither a formal investigating right to review the legality and nor a practical examination authority as to the criminality. He has to send (forward) the complaint and the related documents attached. The prosecutor will conduct the investigation according to rules on the investigation direction and on the judicial police by the prosecutor. Then, the prosecutor will conduct a further investigation by receiving the forwarding documents where the judicial police officer’s opinion has been written or dispose of the case for prosecution and non-prosecution on the basis of the fact written in the complaint. However, it is stated that the judicial police officer can reject the complaint if decided that it is each reason (look below in detail) written in the Article 42 of the crime rules by the police directive. This mat be interpreted as the redemption of the people as the police itself gives the judical officer an authority to rejected the complaint in spite of no regulation or delega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and other laws.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whether the judicial police officer’s rejection of the complaint disposition based on criminal investigation, rules crimes rules, infringe such fundamental rights the Article 11 of the Constitution, equal rights, and proceedings statement rights of the Paragraph 5 of the Article 27 or whether the crime rules redeem the people externally, which are the police internal guidelines, and whether there is an illegal or unconstitutional case or not regarding the activation of the police. Lastly,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problems and appropriate alternatives through the last data reviewed and the clear events or civil disputes regarding the disposition of rejecting the complaint through the last data reviewed. Converse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n which way the clear event or civil dispute that will not be a sin due to indiscriminate complaints will be punished.

한국어

범죄의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하는 피해자 또는 범죄가 있다고 사료 하는 때에는 누구든지 경찰서나 검찰에 고소 또는 고발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소장 및 고발장을 접수 할 수 있는 기관은 경찰서나 검찰 중 한 곳을 선택하여 제기할 수 있다. 수사종결권이 있는 검찰이 직접 접수받은 고소 또는 고발장을 반려 처분 하는 경우는 그 권한이 있다는 전제에서 별론으로 하고 경찰서에 고소 또는 고발장을 접수하는 경우 경찰관이 경찰청 훈령인 범죄수사 규칙 제42조 제1항에 규정된 사항이라고 판단하여 이를 반려하는 것 이 적법한지에 관하여 본 연구를 통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형사소송법 제223조에서는 ‘범죄로 인한 피해자는 고소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법 제234조에서는 ‘누구든지 범죄가 있다고 사 료하는 때에는 고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같은법 제23 8조에서는 ‘사법경찰관이 고소 또는 고발을 받은 때에는 신속히 조사 하여 관계서류와 증거물을 검사에게 송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 다. 즉, 형사소송법 및 기타 어느 법률에서도 고소 또는 고발장을 경찰 관이 반려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거나 반려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 하였다고 볼만한 규정이 없음에도 경찰청이 스스로 사법경찰관에게 고 소장 및 고발장을 반려할 수 있는 권한을 직무명령의 형식으로 부여하 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찰청범죄수사규칙이 대외적 구속력이 없는 훈령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같은 규칙 제42조 제1항에 따른 반려처분 의 위법성 측면과 헌법 제11조 평등권, 같은법 제27조 제5항 재판절 차진술권과 같은 기본권 침해와 관련한 위헌적 측면으로 분리하여 검 토해보고 그러한 법률적 문제에 관한 해결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경찰관의 고소장 반려처분
 Ⅲ. 경찰관의 고소장 반려처분의 위법성
 Ⅳ. 경찰청범죄수사규칙 제42조 제1항의 위헌성
 Ⅴ. 기타 법률적인 문제점
 Ⅵ. 결론 및 해결방안
 Ⅶ. 마치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주영 동국대 일반대학원 박사과정(공법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