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자 한식기 디자인 개발 연구

원문정보

The Research on the Ceramic Tableware Design Development for Korean Food

노혜신, 김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society’s living standard has been improved amidst an abundance of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chnique. A new culture, along with mixture and harmony of all individual cultures, is continuously seeking to change. Such cultural transition has diversified and gentrified the taste of those who live in modern times. As a result, culinary culture has allowed an individual to express oneself by objectifying the cultural value. Moreover, a variety of demands for ceramic tableware has brought variance in its shape, size, and color. This research aims to emphasize the value of design and find a manufacturable design that is accommodates for the diversity-seeking consumers’ various ambitions towards ceramic tableware.

한국어

현대 사회는 경제적인 풍요로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정보, 기술 등의 발달을 통해 동서양의 문화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각국의 문화가 혼합되고 조화 되어 만들어진 새로운 문화는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취향도 다양화, 고급화 시켰다. 식문화에 있어서도 음식을 ‘먹는다’는 도구적 의미에서 문화적 가치를 즐기고 추구하는 대상의 의미로 여겨지고 있으며 식생활 속에서 자신만의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의 변화와 함께 소비자의 성향이 변화 되면서 도자식기에 대한 다양한 요구는 형태와 크기 색채의 다양성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가치가 강조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서 우리의 달라진 생활 구조의 변화와 그릇에 대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여 현대인의 식생활에 적합한 식기제작을 통해 개성 있는 도자 식기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식기의 시대적 특징
  2. 도자 식기의 종류와 역할
  3. 도자 식기의 분류
  4. 도자 식기 디자인
 Ⅲ. 작품 제작 및 해석
  1. 디자인 의도
  2. 작품 제작 기법
  3. 작품 해석
 Ⅳ.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노혜신 Ro Hae sin. 공주대학교
  • 김혜진 Kim Hae Jin. 공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